"경영실적을 올리고 싶다면 직원들의 교육을 강화하고 직원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켜라. 그리고 이익분배(profit sharing)제도를 도입해라. 성과급제도는
팀별 평가를 도입해야 효과가 높다"

미국 브리검영 대학 크리스토퍼 미크 교수의 조언이다.

LG초청으로 내한한 미크교수는 지난 20년여년간 미국 노동, 국방부,
경제개발청을 비롯, 세계 각국 기업을 컨설팅해온 미국의 대표적인 조직및
노사관계 전문가.

미크교수가 4일 상공회의소에서 가진 "미국기업의 경영위기 극복사례와
시사점"강연회의 내용을 요약한다.

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많은 직원들을 경영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참여시킬수록 노동생산성이 현저히 증가했다.

직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지면 그만큼 일에 대한 책임감과
만족감도 높아지고, 자연히 생산성과 품질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직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자질향상이 뒷받침돼야 한다.

그래서 교육이 필수적이다.

직원들을 1년간 교육시킨 기업들은 전반적인 생산성이 평균 10%정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의 경우 8.5%, 비제조업의 경우 13%의 생산성 향상효과가 있었다.

교육을 많이 받은 직원일수록 생산프로세스를 어떻게 하면 개선할까
고민하게 되고, 그결과 생산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익을 직원과 나눠가지는 이익분배제도도 생산성을 높이는 특효약이다.

이 제도를 실시하는 제조업체는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생산성이 평균 7%
높았다.

반면 직원들의 교육이나 의사결정권 강화는 등안시한채 단순히 TQM
(전사적품질관리)만 도입한 기업은 생산성 향상효과가 적었다.

실제로 미국의 30개 철강회사의 7개 생산성향상 혁신사례를 분석한 결과
단일 혁신프로그램만 따로 떼서 도입한 경우 생산성이나 품질 향상효과가
적었다.

이에비해 관련된 여러 혁신제도를 한꺼번에 적용한 회사는 생산성과
품질이 크게 높아졌다.

복합적인 혁신제도를 동시에 도입했을때 생산라인 한개당 월 17만3천달러,
연2백만달러의 생산성 향상효과가 있었다.

능력급제는 개인별 평가보다는 팀단위 평가체제를 통하는게 좋다.

개인별 평가제도를 택할 경우 개인간 비생산적인 경쟁심만 높아져
부작용이 많다.

팀단위 평가제도를 도입하는게 기업의 경영실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

노사정책과 관련, 노조와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회사가 경영실적도
좋았다.

반대로 노조와 갈등을 빚는 기업은 경영성적도 나빴다.

노조에 대해 강경노선을 택할 경우 당장 임금을 낮출수는 있지만 직원들이
창의력과 혁신적 아이디어를 발휘할 에너지나 기회를 차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회사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직원들의 불안감을 고조시켜 무사안일주의에 빠뜨리는 부작용도 있다.

그 결과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조직을 개선해나갈 능력을 잃어버리는
치명적인 결과를 몰고 온다.

< 노혜령 기자 hro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