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적 ''EC 인프라'' 구축 서둘때 >>

김범수 < LG-EDS시스템 사장 >

지난 수년간 우리는 인터넷과 컴퓨터가 가져온 비즈니스환경의 변화를
목격해왔다.

인터넷은 개방형이어서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녀
사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응용 영역이 크게 다양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응용분야가 전자상거래다.

전자상거래는 이제 전세계적으로 기존 상거래 시스템을 위협하고 있다.

최근의 한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자는 1백30여개 국가에 걸쳐 1억명에
이르고 있으며 매월 10%가량씩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레스터 리서치는 지난해 11억4천만달러인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이
올해는 29억7천만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오는 2000년에는 65억8천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전자상거래시장 선점을 위한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국 정부와 업계의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미국은 인터넷 상거래의 국제적인 논의를 주도하기 위해 클린턴
대통령이 인터넷 상거래 자유무역화를 골자로 하는 "세계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통상산업성 산하의 "전자상거래실증추진협의회"와 우정성의
"사이버비즈니스협의회"를 통해 전자상거래 기반정비를 추진중이다.

법무성에서는 전자상거래법 연구회를 만드는 등 정부가 중심이 돼
전자상거래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개별 국가단위가 아닌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공동
대응하고 있다.

EU는 지난해말까지 전자화폐발급에 관한 지침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실행계획 등을 마련했다.

올해부터 오는 2002년까지 이 프로젝트를 시행할 계획이다.

선진국들의 이런 움직임에는 한발 앞서 이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의지가 깔려 있다.

이들은 앞다퉈 전자상거래시장 선점을 위해 관련 기술개발 및 정책수립에
몰두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른바 "사이버 패권주의"라는 새로운 21세기 경제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80년대 미국의 정보화에 대한 투자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 기업들은 경기의 전반적인 침체로 어려움을 겪던 80년대 중반
정보화에 최우선적으로 투자하는 모험을 감행했다.

그 결과 미국 경제는 90년대 들어 8년째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동안 계속되는 호황이다.

우리는 이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현 상황에서 기업들은 무엇보다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해 추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전자상거래는 아직 그 체계가 잡히지 않았지만 성장잠재력이 무한한
시장이다.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면 선진국들과 같은 출발선에
설 수 있는 시점이라고 본다.

이를 위해 정부는 관련부처의 유기적 협력체제를 구축, 전자상거래 관련법
제정, 통신비 인하, 물류망 구조개선 등에 나서야 한다.

또 개별 기업 차원에서는 전문인력 양성, 표준솔루션 제공, 기술지도,
컨설팅 지원 등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반다지기 작업이 요구된다.

앞으로 세계시장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것이다.

기업의 조달활동이 이 네트워크 상에서 이뤄지며 기업간 거래 및 주문
과정도 대폭 축소되는 변혁이 일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자연히 도태될 수밖에
없다.

그 어느 때보다 전자상거래와 같은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에 주목하는
것은 이것이 21세기에 경쟁우위에 서기 위한 새로운 원천이 되는 까닭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