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9년

- 수상자 : J 틴베르헨(네덜란드)
업적 : 계량경제학의 공헌

- 수상자 : R 프리시(노르웨이)
업적 : 경제환경설명

<> 70년

- 수상자 : P A 새뮤얼슨(미국)
업적 : 정태적 동태적 경제이론의 발전

<> 71년

- 수상자 : S S 쿠즈네츠(미국)
업적 : 경제성장에 대한 경험주이적 해석

<> 72년

- 수상자 : J R 힉스 / K J 애로(미국)
업적 : 일반경제의 균형이론과 복지이론의 발전

<> 73년

- 수상자 : W W 레온티예프(미국)
업적 : 투입산출표의 개발과 그 응용

<> 74년

- 수상자 : F A 폰 하이에크(오스트리아) / K G 뮈르달(스웨덴)
업적 : 화폐와 경제변동의 선구적 연구

<> 75년

- 수상자 : L V 칸트로비치(소련) / T 쿠푸만즈(미국)
업적 : 자원의 적정배분에 관한 이론발전

<> 76년

- 수상자 : M 프리드먼(미국)
업적 : 소비분석 통화이론의 실적과 경제안정정책 실증

<> 77년

- 수상자 : B G 올린(스웨덴) / J E 미드(영국)
업적 : 국제무역 국제자본이동의 이론적 연구

<> 78년

- 수상자 : H A 사이먼(미국)
업적 : 경제조직내에서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79년

- 수상자 : T W 슐츠 / W A 루이스(미국)
업적 :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문제 중점연구

<> 80년

- 수상자 : L R 클라인(미국)
업적 : 경기예측에 관한 연구

<> 81년

- 수상자 : J 토빈(미국)
업적 : 경제성장 모델에 화폐적 요인을 도입

<> 82년

- 수상자 : G 스티글러(미국)
업적 : 산업구조와 시장기능 및 정부규제원인과 결과분석

<> 83년

- 수상자 : J 드브뢰(미국)
업적 : 경제학에 새 분석방법 도입한 시장균형 이론연구

<> 84년

- 수상자 : R 스톤(영국)
업적 : 국민경제의 흐름을 추적하는 계정체계를 발전

<> 85년

- 수상자 : F 모딜리아니(미국)
업적 : 저축과 금융시장에 관한 연구

<> 86년

- 수상자 : J M 뷰캐넌(미국)
업적 : 정치 경제적인 의사결정과정을 체계적으로 이론화

<> 87년

- 수상자 : 로버트 M 솔로(미국)
업적 : 경제성장에 대한 생산요소를 측정하는 이론정립

<> 88년

- 수상자 : 모리스 알레(프랑스)
업적 : 시장자원의 효율적 이용이론

<> 89년

- 수상자 : 트리그베 호벨모(노르웨이)
업적 : 경제학에 통계적 검증법 도입해 계량경제학 이론 확립

<> 90년

- 수상자 : 머튼 밀러, 해리 머코위츠, 윌리엄 샤프(미국)
업적 : 자본시장의 균형에 관한 이론 개발을 통해 기업재무관리방법론
기여

<> 91년

- 수상자 : 로널드 코즈(영국)
업적 : 경제학 법학을 접목시켜 체계화

<> 92년

- 수상자 : 개리 S 베커(미국)
업적 : 인간행위를 경제적으로 연구

<> 93년

- 수상자 : 로버트 포겔 / 더글러스 노스(미국)
업적 : 경제이론과 계량적인 방법을 경제사에 적용, 경제 및 제도변화를
설명

<> 94년

- 수상자 : 존 하사니 / 존 내시(미국) / 라인하르트 젤텐(독일)
업적 : 게임이론의 ''균형'' 개념으로써 무역 및 정보학 환경학 등을 분석
하는 방법론 제시

<> 95년

- 수상자 : 로버트 루카스(미국)
업적 : 합리적 기대가설론을 발전시켜 거시경제분석에 응용

<> 96년

- 수상자 : 윌리엄 비크리(캐나다) / 제임스 A 멀리스(영국)
업적 : 정보의 비대칭성하에서의 인센티브 이론

<> 97년

- 수상자 : 마이런 숄즈 / 로버트 머튼(미국)
업적 : 스톡옵션 등 파생금융상품의 가격 예측 모델 마련

<> 98년

- 수상자 : 아마르티아 센(인도)
업적 : 후생경제학 및 계량적 기초 확립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