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 볼이 붉어지고 밤송이가 벙글면 달밝은 중추가 된다"는 옛 속요가
있다.

지금도 햇밤이나 햇대추가 나오면 어김없이 추석은 찾아온다.

정월 대보름이 풍년을 기원하는 명절이라면 추석은 풍년을 경축하고 하늘과
조상에게 감사하는 대축제다.

채 익지 않은 벼를 잘라다가 하늘에 천신하는 제례를 호남에서는 "올계심리"
영남에서는 "풋바심"이라고 불렀다.

아직 농촌에서 행해지는 감사제의 하나로 남아 있다.

햇곡식으로 정성껏 장만한 제수를 차려놓고 지내는 차례나 성묘도 같은
성격을 띈 제례다.

농부들에게 추석은 "5월 농부, 8월 신선"이란 말이 실감날 정도로 풍성하고
행복하기만한 날이었다.

추석날은 햅쌀밥에 토란국을 먹었다.

올 벼로 빚은 "오려송편"은 추석차례의 으뜸제수였다.

무우나 호박을 켜켜이 넣은 시루떡, 파란 햇콩가루를 무친 인절미도
만들었다.

햅쌀로 신도주를 빚고 햇녹두로 청포묵을 쑤었다.

박나물 토란단자 송이국 고자국은 추석의 별미로 꼽혔다.

추석에는 마을마다 소먹이놀이 지신밟기 강강술래 씨름 소싸운 닭싸움
가마싸움 활쏘기 등 놀이를 벌며 시끌법적하게 하루를 즐겼다.

"더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는 덕담이 나올만 하다.

추석은 그대로 조상과 하늘의 축복이었다.

사회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바뀌고 풍속도 많이 변했다.

하지만 추석은 신라시대부터 끈질지게 생명력을 이어오고 있는 민족의
고유명절이다.

예년처럼 올해도 추석연휴 귀성객의 대이동은 여전할 것이다.

정녕 먹지않아도 배부를것 같은 명절은 어김없이 찾아왔지만 올해는 우리
주위에 추석을 잃어버린 사람이 많아 안타깝기만 하다.

연휴를 길거리에서 보내야 하는 노숙자들, 태풍 예니가 휩쓸고 간 피해지역
농민과 수재민들, 그리고 수많은 실직자들에게는 이번 추석이 우울하고
쓸쓸한 추억으로 길이 남을 것 같다.

나라경제가 어려워지면 질수록 사람은 이악스러워져 가게 마련이라지만
이들과도 명절의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어야 겠다.

제사밥도 이웃과 나눠먹던 것이 우리의 정겨운 옛 풍속이 아니었던가.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