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년 출판 외길을 걸어온 윤형두 범우사 회장이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8세.
4일 출판협회는 "어제 윤 회장이 별세했다"고 발표했다.
1935년 일본 고베에서 태어난 고인은 동국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출판계에 입문해 1966년 범우사를 세웠다. 범우사 외에도 고인은 월간 다리, 월간 책과 인생 등의 발행인을 맡았다. 1991년 범우출판장학회를 설립해 출판인재 양성을 위해 장학금을 지급하고 2003년부터는 범우출판문화재단을 설립해 출판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출판단체 활동도 활발해 제47대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장(2011~2013)을 비롯,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1988), 한국출판학회 회장(1989~1992),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 이사장(2006~2010) 등을 지냈다. 이 같은 공로로 보관문화훈장, 국민훈장 석류장, 대통령 표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서울시문화상, 한국출판문화상 백상특별상 등을 수상했다.
중앙대에서 문학석사(출판잡지 전공)를, 국립순천대에서 명예 박사학위(출판학)를 받았으며, 에세이와 출판 관련 연구서 등 20여권의 저서를 발간했다.
범우사는 1967년 첫 책 이후 1970년대 범우고전선, 루이제 린저 저작선집, 사상신서, 에세이문고, 사르비아문고 등을 기획 발간했고, 1980년대부터 비평판 세계문학선, 범우문고 등으로 국내외의 고전을 독자들에게 소개했다.
유족으로는 강영매 전 이화여대 교수, 윤재민 범우출판 대표, 윤재준 서울디지털대 교수, 윤성혜 윤아트 대표가 있다. 빈소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다. 발인은 6일 오전 10시, 장지는 경기도 장흥 신세계공원묘지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김선조 대구시 행정부시장이 4일 임용장을 받은뒤 홍준표 대구시장과 담소를 나누고 있다. 대구시 제공
김선조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이 4일 취임했다.
김선조 행정부시장은 부산 출신으로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37회로 1994년 4월 공직에 첫발을 내디뎠다. 환경부를 거쳐 울산시 안전행정국장, 울산 중·동구 부구청장, 행정자치부 지역발전과장, 울산시 기획조정실장과 부산시 기획조정실장,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지원관 등을 지냈다.
대구와의 인연도 깊다. 1995년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에 첫 보직을 받아 1년간 근무하면서 배우자를 만났다.
김 부시장은 "중앙행정뿐만 아니라 풍부한 지방행정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어려운 경제와 재정 상황 속에서 약자 복지 강화, 공공의료 인프라 보강, 재난·재해 예방 등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대구마라톤대회와 2026대구세계마스터즈육상경기대회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는 등 지역 문화·체육·관광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오경묵 기자
산림청은 이달의 임업인에 충남 아산에서 옻나무를 재배하는 임영빈 아산약선마을영농조합법인 대표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임 대표는 옻나무 고령목을 활용해 옻 가공품을 개발·판매하며 임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등 옻 식품화를 통한 임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40년 넘게 옻 연구에 몰두해 온 남편과 함께 옻나무를 재배하고 있다.
임 대표는 옻의 독성은 없애고 효능은 유지하는 가공 기술을 개발해 2015년에 특허를 획득했고, 현재도 옻 가공법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 중이다.
3년 이상 발효 숙성한 옻 발효액과 120도 고온 고압에서 24시간 끓인 옻 진액 가공품을 생산·판매해 옻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사람도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했고, 다양한 요리에도 응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옻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다년간 쌓아온 경험과 기술을 주변 임가와 공유하기 위해 재배지 견학과 임업인 대상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임 대표는 “옻 가공품 제조법과 활용법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해 국내외에 옻의 우수성을 알리고 옻나무 재배 임가 확대를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