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으로 생각했지 누가 보호가 안되는 건지 알았습니까. 은행측에서 높은
금리를 준다고 해서 5년동안 부어 왔는데 이제 와서 손해를 감수하라니
말이나 됩니까"

동화은행 신탁상품에 가입했다는 한 주부는 기자에게 울먹이며 말했다.

정부에서 모든 예금은 보호한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신탁상품은 보호되지
않는다는게 말이 되느냐는 호소였다.

이런 전화를 수없이 받으면서 과연 누가 이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하는지
자문해 보게 된다.

고금리를 준다고해서 무턱대고 돈을 넣은 투자자들도 할말은 없다.

그동안 수차례 신탁상품은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언론은 지적해 왔다.

이제와서 그런 보도를 못봤다는건 변명에 불과하다.

금융기관의 모럴 해저드는 거론할 필요조차 없다.

은행들은 손실을 볼수 있다는 점을 고객들에게 알리지 않고 고금리만 제시
했던게 사실이다.

일부는 원리금을 보장하겠다는 이면각서를 써주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초법적 수단을 동원해 퇴출은행의 신탁을 인수은행이 떠안아 원금을
보장하라는 것도 난센스다.

한마디로 고객 금융기관 정부 모두의 총체적 부실인 셈이다.

미국의 대표적 신탁상품인 뮤추얼펀드는 인기 높은 투자수단이다.

펀드가 어떻게 운용되는지 쉽게 알수 있고 수익률도 높다.

미국의 증권시장을 떠받쳐온 일등공신은 뮤추얼펀드다.

운용내역 공개도 없었고 사후 대처도 뒤늦은 우리를 되돌아보면서 한국
금융산업의 현주소가 이것밖에 되지 않는지 씁쓸하기만 하다.

정태웅 < 경제부 기자 redae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