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대통령의 필요성과 판단기준 >>

<> 차기 대통령이 역점을 둬야 할 분야 =단연 "경제"였다.

유권자의 70.9%는 차기 대통령이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국정분야를
경제분야라고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 "정치분야"(10.2%) "교육분야"(9.6%) 순이었으며 "통일분야"
(5.1%) "외교분야"(3.0%) 등은 소수에 그쳤다.

한편 서울(11.4%) 부산(16.1%) 경기(15.3%)지역에 거주하는 응답자들은
"경제분야"에 이어 "교육분야"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경향은 고소득층 고학력층일수록 두드러졌다.

<> 경제분야의 우선 해결과제 =국민들의 절대 다수는 "물가안정"(40.1%)과
"경제성장"(36.3%)을 차기대통령의 선결과제라고 지적했다.

반면 구조조정 등으로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실업문제"를 지적한
응답자는 6.0%에 머물렀다.

조기퇴직 등에도 불구, 아직까지는 실업에 대한 불안감이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밖에 차기 대통령이 주력해야 할 경제현안으로 국민들은 "중소기업 육성"
(5.4%) "사회복지"(2.4%) "금융정책"(1.9%) 등을 꼽았다.

자영업자와 가정주부의 경우에는 "경제성장"보다는 "물가안정"을 더 우선시
해야 한다는 반면 농림수산업 종사자, 학생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경제성장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산.서비스종사자들은 "실업문제"를 지적한 응답자가 11.0%로 직종별로
는 가장 높은 수준을 보여 고용안정을 비교적 심각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경제문제 해결능력의 당락좌우 여부 =국민 대다수는 대통령 후보의
"경제회생 능력" 등 경제문제 해결능력이 후보의 당락을 좌우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설문 대상자의 47.7%는 경제문제 해결능력이 당락에 "약간 영향을 미칠 것"
이라고 응답했다.

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도 42.2%에 달했다.

유권자의 89.9%가 현재의 경제난국을 슬기롭게 풀어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후보에게 표를 던질 것임을 분명히 했다.

과거 어느 대통령선거에 비해 "경제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여망이 높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지역별로는 경북과 경남지역에서 대선후보의 경제문제 해결능력이 당락에
크게 좌우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각각 14.5%와 14.0%로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을 뿐 여타지역에서는 당락에 큰 변수가 될 것이라는 공통된
견해를 보였다.

<> 경제대통령이 갖추어야 할 자질 =응답자의 절반인 49.0%는 "경제정책의
일관성 있는 추진력"을 경제대통령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자질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이는 그동안 문제가 생길때마다 땜질식 처방에만 급급한데다 일관성없는
정부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강한 불만표시로 해석된다.

이외에도 "기업활동을 잘할 수 있는 여건조성 능력"(15.0%) "세계시장
개척을 위한 외교력"(13.7%) "유능한 경제참모 활용능력"(11.0%) 등을
지적했다.

반면 "경제이론에 대한 지식"(7.0%)과 "경제관련 장관이나 교수 등의 경력"
(3.5%)을 경제대통령의 자질로 꼽는 견해는 소수에 불과해 주목된다.

대전거주자들 사이에서는 "경제정책의 일관성"(60.7%)과 "기업활동여건
조성능력"(21.4%)을 꼽는 응답자가 많았다.

또 충북지역에서는 "경제정책의 일관성"(43.8%)에 이어 "경제이론지식"
(18.8%)을 꼽기도 했다.

한편 50대와 자영업자들의 경우 "세계시장 개척을 위한 외교력"을 상대적
으로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 현재 대선후보중 경제대통령감 존재여부 =유권자의 과반수를 웃도는
66.4%는 현재 대통령 후보들 중에서 "경제대통령"의 자질을 보유한 후보가
"있다"고 응답했다.

"없다"는 견해는 33.6%에 그쳤다.

특히 광주거주자의 경우 응답자의 1백%가 경제대통령감이 "있다"고 대답
했다.

전북(88.4%)과 전남(87.2%)지역의 응답자들도 마찬가지 견해를 보였다.

반면 충북의 경우 경제대통령감의 유무에 대한 응답이 각각 절반을 차지,
호남지역 유권자들과는 대조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또 서울(41.4%) 대구(41.8%) 충남(41.5%) 경북(41.9%) 등지에서도 경제
대통령감이 "없다"는 응답이 평균치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대선후보 자질파악 경로 =국민의 대다수는 "언론에 나타난 언행"(58.4%)
을 바탕으로 현재 대통령 후보들중 경제대통령의 자질보유 여부를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언론이나 전문가의 평가"(15.4%) "경제공약 정견발표"등 좀더 객관적
인 잣대를 기준으로 하기 보다는 대체적으로 주관적인 관점에서 후보를
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더군다나 "그냥 직감으로"(9.5%)라든가 "주변사람들의 평가"(6.3%) 등에
따라 작의적으로 경제대통령감을 고르는 경향도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17.6%) 충남(20.8%) 경남(14.0%) 등지의 거주자들이 타지역
에 비해 "주변사람들의 평가"를 통해 후보의 자질을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강력한 리더십의 필요성 =경제회생을 위해 차기 대통령이 시장경제 원리
에 어긋나는 강력한 수단을 통해서라도 적극적인 정책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국민들의 과반수인 53.4%가 찬성의사를 표시했다.

반면 반대 견해는 24.9%에 불과했다.

"반반"이라는 응답은 21.7%였다.

이는 시장경제의 기본원칙을 깨뜨리면서까지 경제회생을 열망하는 국민들의
기대를 대변하는 것으로 최근 확산되고 있는 박정희 신드롬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에게 전권을 부여, 압축성장을 이룩해낸 과거의 성장신화가 재연되기
를 갈구하는 국민들의 욕구는 최근의 경제침체가 얼마나 극심한 것인가를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 경제관련 공약차이 인지도 >>

<> 후보별 선거공약 차별성 =국민 대다수(78.2%)는 현재 대통령 후보들간의
경제공약에 "차이점이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전혀 차이가 없다"는 의견은 20.6%였다.

이같은 인지도는 젊은층일수록, 고학력.고소득층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대졸이상계층의 80.2%가 "후보간 공약차이가 있다"고 응답했다.

지역별로는 광주 전북 전남 등지에서 상대적으로 공약의 차이점을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충남 대구 강원지역 거주자들의 경우 "공약의 차이가 없다"는 견해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60세이상의 고령층에서도 공약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는 견해가 27.4%로 높은
편이었다.

<> 공약차이가 후보 지지도에 미친 영향 =전체 응답자의 48.9%는 경제공약의
차이가 지지후보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대답했다.

후보간에 공약차이를 느끼고 있다는 응답자중에서는 62.5%가 후보들의 경제
공약이 지지후보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결과는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는 기존의 선거와는 달리 경제문제가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연령 학력 직업 소득수준등에 따라 후보간 경제공약의 차이가
지지후보 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지역적으로는 대전 경북 경남지역에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전지역 거주자의 경우 52.0%가 지지후보 결정을 미루고 있으며 경북지역
에서도 이같은 비율이 44.7%나 됐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