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 파문] 강압적 행장 내정인사..금융계-정부 대립조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의 관치금융인사에 대한 주주와 직원들의 반발이 표면화되고 있다.
외환은행은 5일 두번째 비상임이사회를 열고 장명선행장 후임을 선출할
예정이었으나 정부의 내정인사에 불만을 품은 일부 비상임이사들의 불참으로
회의자체가 무산됐다.
또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을 비롯 외환 서울 한미 산업은행노조는 정부안
대로 외부인사가 행장으로 선임될 경우 강력한 저지운동을 펴기로 결의,
관치인사에 강력한 제동을 걸고 나섰다.
그러나 정부는 이미 알려진 시나리오대로 외환 서울 한미 수출입은행장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이사장 인사를 강행한다는 방침이어서 정부와 금융계의
한바탕 힘겨루기가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실제 이날 장만화 서울은행장의 사퇴를 유도, "은행장인사를
마음대로 주무르겠다"는 의지를 가시화했다.
그렇지만 이에대한 주주들과 은행원들의 반발강도도 더욱 거세지고 있는
형국이어서 정부뜻대로 은행장인사가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이날 외환은행비상임이사회가 보여준 "행동"은 상당히 의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외환은행은 당초 이날 오후 3시 비상임이사회를 열어 홍세표 한미은행장을
은행장후보로 선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13명의 비상임이사중 6명만이 회의에 참석, 정족수(재적의 3분의 2
이상 참석) 미달로 무산됐다.
은행측에선 "일정이 맞지 않았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정부의 일방적 인사에
불만을 품은 비상임이사들이 의도적으로 회의를 무산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은행 비상임이사회의 무산은 상당한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당장 9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홍행장을 선출할수 있을지부터가 의문이다.
또 정부가 서울은행장으로 내정한 최연종 한은부총재를 서울은행
비상임이사회가 순순히 받아들일지도 미지수다.
여기에 금융노련과 각 은행노조들이 정부의 관치인사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자칫하면 정부의 은행장인사개입의도는 무산될 공산마저 점쳐지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이런 결과가 초래된 것은 금융자율화를 후퇴시키는 관치인사
를 공공연히 시도한 정부의 자업자득이라며 이제라도 관치인사가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하영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6일자).
외환은행은 5일 두번째 비상임이사회를 열고 장명선행장 후임을 선출할
예정이었으나 정부의 내정인사에 불만을 품은 일부 비상임이사들의 불참으로
회의자체가 무산됐다.
또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을 비롯 외환 서울 한미 산업은행노조는 정부안
대로 외부인사가 행장으로 선임될 경우 강력한 저지운동을 펴기로 결의,
관치인사에 강력한 제동을 걸고 나섰다.
그러나 정부는 이미 알려진 시나리오대로 외환 서울 한미 수출입은행장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이사장 인사를 강행한다는 방침이어서 정부와 금융계의
한바탕 힘겨루기가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실제 이날 장만화 서울은행장의 사퇴를 유도, "은행장인사를
마음대로 주무르겠다"는 의지를 가시화했다.
그렇지만 이에대한 주주들과 은행원들의 반발강도도 더욱 거세지고 있는
형국이어서 정부뜻대로 은행장인사가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이날 외환은행비상임이사회가 보여준 "행동"은 상당히 의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외환은행은 당초 이날 오후 3시 비상임이사회를 열어 홍세표 한미은행장을
은행장후보로 선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13명의 비상임이사중 6명만이 회의에 참석, 정족수(재적의 3분의 2
이상 참석) 미달로 무산됐다.
은행측에선 "일정이 맞지 않았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정부의 일방적 인사에
불만을 품은 비상임이사들이 의도적으로 회의를 무산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은행 비상임이사회의 무산은 상당한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당장 9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홍행장을 선출할수 있을지부터가 의문이다.
또 정부가 서울은행장으로 내정한 최연종 한은부총재를 서울은행
비상임이사회가 순순히 받아들일지도 미지수다.
여기에 금융노련과 각 은행노조들이 정부의 관치인사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자칫하면 정부의 은행장인사개입의도는 무산될 공산마저 점쳐지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이런 결과가 초래된 것은 금융자율화를 후퇴시키는 관치인사
를 공공연히 시도한 정부의 자업자득이라며 이제라도 관치인사가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하영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