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기업의 3분의2가 대졸 화이트칼러를 감원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고 있다.

또 대졸 화이트칼러의 약 70%는 현재의 직장을 평생직장으로 생각하지
않을 만큼 심각한 고용불안에 빠져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노동연구원 이장원 부연구위원은 2일 "대졸 화이트칼러의 능력개발과
경력관리에 관한 연구"에서 대기업들이 고용조정에 나서고 능력주의
인사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화이트칼러 고용불안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직업훈련을 통해 화이트칼러를 전문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위원이 지난해 10월 2백55개 대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한
결과 인력축소 필요 직종으로 56.5%가 일반사무관리직을 꼽는 등 3분의 2에
근접한 65.5%가 대졸사원 감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대졸사원 조기퇴직(명예퇴직)제도에 대해서는 <>이미 이 제도를 시행중인
업체가 7.5% <>제도는 도입했으나 아직 시행하지 않고 있는 업체가 7.5%
<>앞으로 도입할 예정인 업체가 32.2%에 달하는 등 절반 가량의 기업이 대졸
화이트칼러 조기퇴직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대졸사원 인력조정을 위해 가장 역점을 두는 방식으로는 대부분
회사내 인력재배치(61.6%)나 신규채용 억제(34.1%)를 꼽았다.

이에 대해 연구.조사를 수행한 이위원은 "근로자들이 적응할 수 있는
여건이 취약한 상황에서 인력재배치가 대규모로 실시될 경우 반자의적
퇴사를 초래하고 사기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 시점에 4대그룹의 하나인 A그룹 사원 4백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응답자의 69%가 "명예퇴직이 실시되면 보상금에 따라
응할 수 있다", 5%는 "보상금과 관계없이 응하겠다"고 답했다.

또 약 70%의 사원은 현직장을 평생직장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위원은 대졸 화이트칼러 고용불안은 <>인문계인력 과잉배출 <>능력주의
확산 <>전문화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려면 교육훈련을 통해
대졸사원의 능력을 개발하고 전문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