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이 언제부터 콩나물을 길러 먹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수 없다.

콩의 원산지가 고구려의 강역이었던 완주지방으로 추정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그 역사가 오래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을뿐이다.

콩나물은 고려 고종때 저술된 "향약구급방"에 대두황이라는 이름으로
문헌에 첫 등장했다.

조선시대에 들어 와서는 박세당의 "산림경제"에 두아채, 서유 의
"임원경제십방지"에 황두아라는 명칭으로 콩나물에 관한 기록이 나온다.

콩나물에는 콩으로 있을 때에는 없던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어 야채가
귀한 겨울철에 귀중한 비타민의 공급원이 되어 왔다.

콩나물 100g에는 16~20mg의 비타민C가 들어 있다.

이것은 사람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비타민C의 3분의 1가량을 충당할수
있는 양이다.

때문에 콩나물은 옛날부터 서민의 흔한 일상적 찬거리로서 사랑을 받아
왔다.

국 나물 밥 국밥 잡채 볶음 김치 등 갖가지 종류의 재료가 된다.

또 콩나물은 별미식을 만드는 재료로서도 이용된다.

콩나물을 밥솥에 겅그레를 놓고 콩비린내가 나지 않게 쪄내 양념간장에
무치면 맛이 일품인가하면 고술고술한 콩나물밥을 지어 참기름을 한방울
떨어뜨린 양념간장에 비벼 먹으면 진수성찬이 부럽지 않다.

전주의 콩나물밥과 콩나물국밥 비빔밥, 마산의 미더덕찜, 진주의 비빔밥
등 향토 별미식에로 빠져서는 안되는 재료가 콩나물이다.

한편 콩나물은 한약재로서도 쓰인다.

채 자라지 않은 콩나물을 말려 부종과 근육통을 다스리고 위속의 열을
없애는 약재로 사용한다.

또 콩나물은 저혈압과 풍토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옛날만 하더라도 어느 집안에나 방 한귀퉁이에 보자기를 뒤집어 쓰고
쳇다리위에 앉아 있는 콩나물 시루를 흔히 볼수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공장에서 양산되는 콩나물로 바뀌고 말았다.

그러면서 농약 콩나물의 유해성 여부가 잦은 논쟁거리가 되었다.

보건당국이 최근 조사한바로는 콩나물 재배업소 10곳중 6곳이
콩소독용으로 농약을 사용하고 있다 한다.

그 유해성 여부가 가려진 마당은 아니지만 우리의 기호식인 콩나물 마저
마음놓고 먹고 살수 없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