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을 비롯한 LG 쌍용 한화 코오롱 진로 등 굵직굵직한 대기업
그룹들이 연말 정기사장단 인사를 일단락했다.

현대 대우 선경 등은 아직 인사를 단행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의 패턴으로
미루어볼 때 올해 재계 인사의 큰 흐름은 <>세대교체 <>실적주의에 기초한
과감한 "발탁"과 "문책" <>해외부문강화 <>총수 친정체제 구축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세대교체는 경영실적에 대한 문책이라는 것과 맞물려 대세로 자리잡았다.

LG그룹의 경우 아예 60세 이상 경영진은 퇴진을 원칙으로 했다.

생일이 1월인 박수환 LG상사사장의 경우 "60세 룰"에 걸려 몇개월 차이로
조기퇴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이정성 LG금속사장,이영재 LG화학 생활문화부문사장등이 고문으로
임명되거나 해외연수 등으로 일선에서 물러났다.

쌍용그룹도 이주범 총괄부회장, 박두하 쌍용USA회장, 이영선
남광토건사장, 정선기 쌍용제지사장, 이상온 쌍용화재사장 등 원로급들을
고문으로 발령했다.

이로인해 쌍용 경영진들의 평균연령은 10년정도 젊어졌다.

코오롱은 오준희그룹부회장, 이법훈 전자대표를 일선에서 퇴진시켰으며
진로의 박영수그룹부회장도 고문으로 발령났다.

삼성그룹에선 소병해, 황학수 카드부회장등 원로경영인들이 상담역으로
물러났다.

이제 웬만한 그룹에선 60세를 넘은 원로급 경영인은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세대교체가 명분이라면 실적중시 인사는 현실이다.

과감한 발탁과 문책성인사는 동전의 앞뒷면으로 나타났다.

삼성그룹의 경우 허태학 중앙개발전무가 두단계를 띄어넘어
대표이사사장으로 발탁됐다.

초고속 승진을 거듭해온 진대제 삼성전자부사장은 핵심사업부문인
마이크로부문장을 맡게됐다.

진부사장은 입사 12년만에 "대표"를 다는 진기록을 세우며 명실상부
"CEO"로 자리매김했다.

LG그룹 역시 마찬가지다.

안병욱 김건 상무가 이사대우에서 상무로 각각 2단계 발탁됐다.

코오롱그룹은 나종태 (주)코오롱상무를 코오롱호텔 사장으로 전격발탁했다.

발탁의 이면엔 방출도 많았다.

특히 각 그룹의 화학 금융 건설 등 올해 영업실적이 신통치 않았던
계열사에서 상당수 경영진들이 일선에서 물러났다.

삼성그룹에선 황선두 종합화학 사장과 최훈 물산건설부문대표, 임동승
증권사장등은 경영부진으로 일선에서 물러난 케이스.

해외부문을 강화한 것은 올해 두드러진 특징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는 2-3년전부터 추진돼오던 각 그룹들의 "글로벌 경영"이 한차원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특히 삼성그룹에선 그룹의 간판급 경영진인 김광호전자부회장과 이필곤
물산부회장을 각각 미국과 중국 본사를 총괄하는 회장으로 발령냈다.

이밖에 신세길물산대표(유럽본사),안덕기 엔지니어링 대표(동남아본사)등
중량급 인사들도 해외본사를 책임지게 했다.

이은 그간 전무나 부사장급이 맡았던 해외본사의 위상을 크게 높인
것으로 각 지역본사의 현지 완결형 경영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

말 그대로 글로벌 경영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의미다.

이에앞서 진로그룹 역시 조기봉 석유개발공사 개발본부장과 리처드그리핀
미국국무부 정책조정관을 비서실 해외사업담당사장과 부사장으로 각각 영입,
해외사업강화의 의지를 다졌다.

총수의 신임이 퇴색하지 않는 한 쉽게 자리를 옮기지 않던 그룹
기조실장이나 비서실장의 면면도 올해는 바뀌었다.

삼성그룹은 이학수 신임비서실장체제로 "신경영 2기"를 맞는다는
전략이며 한화그룹과 진로그룹도 비서실장이 교체됐다.

이는 총수친정체제를 강화한다는 의미와 함께 예사롭지 않은 불황에
대비해 "위기관리형"경영시스템을 가져가겠다는 총수의 의지라고 보여진다.

삼성의 경우 "이학수 호"가 불황타개형 비서실 체제인 셈.

이밖에 정기인사를 앞두고 있는 일부 그룹들 사이에서도 기조실장
경질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임원의 승진폭은 예상대로 올해 크게 축소됐다.

LG그룹의 경우 올해 임원승진이 지난해보다 88명이나 줄었으며 앞으로
있을 삼성과 현대의 임원인사에서도 승진폭은 예년에 비해 줄어들 전망이다.

<이의철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