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 10월 대망론이 부상하고 있다.

주가가 이미 대세하락의 길로 접어든지 오래지만 그래도 10월쯤에는 반등
다운 반등을 구경할 수 있을 것이란게 주된 내용.

그같은 그림의 근거로 정책변수와 시장 내부의 수급구조등이 거론되고 있다.

우선 등장하고 있는 것이 당국의 통화관리 방식.

93년 금융실명제가 실시된 이후 94년부터 전통적인 연말장이 사라졌다.

주가는 추석을 전후로 강세를 보였을 뿐 연말장은 오히려 약세로 주저
앉았다.

이에 대해 증시 관계자들은 "실명제의 쇼크를 줄이기 위해 93년 하반기에
무더기로 풀어놓은 통화가 그같은 주가흐름을 만들어놨다"고 설명한다.

분기별로 일정한 통화증가율을 유지해도 94년부터는 풀려나는 통화량은
하반기에 집중됐다.

그때문에 통화당국은 8월에는 9월중순부터 풀려 나갈 추석자금을 고려,
미리부터 통화고삐를 죄었고 추석이후에는 물가억제선을 맞추기 위해 풀린
자금을 거둬들이는 관리 방식을 반복해 왔다.

올해라고 해서 순환고리의 예외일수는 없다.

따라서 금리가 8월말, 9월초에 강세를 보인다면 시장관계자들은 그것을
추석자금의 대량 방출과 그에 따른 추석 강세장의 신호로 해석하게 될
것이다.

이미 발표된대로 10월부터는 세금우대 주식저축이 실시되고, 증권사가
연장해준 신용물량도 9월말이면 어느 정도 정리가 된다.

뒤틀린 시장 내부의 수급구조도 10월에는 바로잡히게 된다.

외국인 주식투자 한도를 추가로 확대하는 것도 남아 있다.

시장 관계자들은 주가 800선이 무너질 만한 상황에서 그것이 발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심리적 지지선인 주가 800선이 무너지면 증시붕락 사태까지 예상해야 하는
당국으로선 외국인 한도 확대를 정략적인 차원에서 구사할 수 밖에 없다는
것.

마지막으로 거론되고 있는게 1년여를 남겨두고 있는 대선이란 정치일정.

과거의 예로 볼때 대선을 치르는데는 여야를 합쳐 줄잡아 3조~4조원의
자금이 들고, 자금의 일부가 증시를 거쳐간 것으로 볼때 정치자금의 유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아무튼 이런 변수가 하나씩 확인될수록 주가는 반등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재료를 미리 반영하는 주식시장 속성으로 볼때 9월중순부터 강력한 반등을
시도할지도 모를 일이다.

다만 주가반등은 좌절에 부딪치면 오히려 큰 폭으로 떨어지는 속성임을
볼때 그때까지 어떻게 버텨내느냐가 당장의 관심사다.

< 허정구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