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사들의 악성연체금액이 1조원을 넘어섬에 따라 고객관리의
효율화가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오무영 비씨카드사장은 "미국 일본등 선진국의 경우처럼 개인의 소득
금융거래실적등 각종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사용한도를 차등화해 부실채권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유종 외환카드사장은 "카드대금을 제대로 내지 않는 고객은 끝까지 추적할
방침"이라며 "빚을 갚지 않으면 금융기관을 이용할수 없다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카드사 고객관리 현황

=신용정보법이 발효된 지난해 7월전까지만 해도 개인의 신용정보를 이용,
고객차등화를 시도한다는 것은 먼 남의나라 이야기에 불과했다.

은행은 은행대로, 카드사들은 카드사별로 고객의 신용정보를 따로따로
보관해 온 것이다.

따라서 카드사들이 개입의 신용도에 따라 카드종류를 구분발급해 준 것은
"눈가리고 아웅하기 식"이었다.

실제 전체 5천여만장의 카드중 우량등급인 골드나 우대카드가 절반정도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카드를 발급받았다 하더라도 회원확장캠페인 기간중 우대나 골드로
바꾸어 달라고 하면 신용도 재평가과정없이 카드를 바꿔준 것이 현실이다.

외국에서는 어느정도 일반화된 개인별 신용조사는 아직까지도 요원하다.

신용조사에 필수적인 재산상태 각종세금 납부실적 금융거래실적 소송관련
사항등 1차자료가 공개되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신용카드사들은 지난 94년까지 채권관리가 전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체가 발생할 경우 채권관리팀에서 안내장을 보내거나 독촉전화를 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최근 엘지카드 등이 조기경보시스템 등을 구축한 것은 그나마 빠른 편에
속한다.

<>외국의 사례

=미국 카드업계는 고객이 카드발급을 요청하면 은행 및 카드사들은 대부분
D&B사 등 신용정보 전문기관에 신용도조사를 외뢰한다.

D&B사 등은 국세청 은행법원 등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신용평가결과를 통보해준다.

이에 따라 은행이나 카드사들은 거래한도 등을 차등화, 부실을 초기단계
에서 예방한다.

연체가 발생할경우 은행이나 카드사는 즉각 D&B사등 신용정보전문기관에
채권추심을 맡긴다.

그래도 대금을 갚지 않는 회원은 불량거래자로 낙인, 평생금융거래를 할수
없게 된다.(오광희 한국신용정보 평가부장)

일본의 경우 JCB(일본 신용카드사)나 일본신판등은 부실이 발생하면 1년안
에 즉각 대손상각처리한다.

1년에 대손상각처리하는 금액은 이용실적 5조엔의 0.8%안팎인 4백억엔.

우리 돈으로 치면 무려 3천억원이나 된다.

이에 따라 거품을 줄이고 자산의 건전성을 기하게 된다.

<박준동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