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례상 ]]]

설 차례상은 지방이나 가정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차림은 비슷하다.

병풍은 북쪽을 향해 치고 그 앞에 상을 놓은 뒤 지방이나 사진으로 신위를
모신다.

다음 신위에서 가까운 제1열에는 시접(숟가락 담는 대접)과 잔반(잔과
받침대) 떡국을 놓는다.

밥과 국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설날 차례상과 일반 기제의 차이점.

제2열에는 적(구운것)과 전(기름에 부친것)을 두는데 서쪽에서부터 국수
육적 전 소적 어적(조기) 어전 떡을 놓는다.

조기는 보통 3마리나 5마리등 홀수로 놓는데 요즘에는 간소하게 1마리만
놓는다.

이때 방향은 제주가 신위를 바라보는 자세의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
이다.

생선을 놓을때 생선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제3열에는 육탕(고기탕) 소탕(두부와 채소탕) 어탕(생선탕)등 3탕을 놓되
세가지를 모두 합한 합탕을 올려도 무방하다.

다음 4열에는 포와 나박김치 나물 간장 식혜 순으로 올려놓는다.

포는 북어와 육포 오징어 문어 말린 것중 한가지이상이면 되고 나물은
고비 시금치 도라지등 삼색나물을 놓는다.

식혜는 건데기만 건져 놓는다.

가장 앞줄인 제5열에는 과일을 놓는다.

과일은 보통 홍동백서라 해서 붉은과일은 동쪽, 흰색과일은 서쪽에 놓는데
밤 배 곶감 약과 사과 대추순이다.

조율시리라 해서 대추 감 곶감 배 약과 강정 순으로 진설하기도 한다.

상의 앞 바닥에는 향로와 향합을 놓고 모사그릇에는 모래를 담은 뒤
소나무가지나 짚을 한웅큼 묶어 세운다.

[[[ 제사 예절 ]]]

차례상이 차려지면 신위를 중심으로 동쪽에 남자, 서쪽에 여자가 선다.

향로 앞에 차례를 주관하는 사람(제주)이 꿇어앉아 향을 피우고 잔에 차나
술을 따라 세번에 나누어 모사그릇에 비운 다음 두번 절한다.

이때의 절은 신이 내리게 한다는 뜻으로 강신례라고 하며 모사그릇은
신이 흙을 밟고 온다 하여 모래를 담아 향로 뒤에 두는 그릇인데 모래위에
청솔잎을 꽂아두기도 한다.

이어 왼쪽에서 제사를 돕는 좌집사(친척중 연장자)가 상 위의 잔과 받침대
를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이를 받아든다.

오른쪽에서 제사를 돕는 우집사(친척중 한사람)가 술을 따라주면 제주는
향 위에서 잔을 오른쪽으로 세번 돌리고 다시 좌집사에게 주어 상위에 놓게
한다.

다음엔 제주가 젓가락을 접시에 세 번 돌린 뒤 좌집사에게 주어 상위에
놓게 한다.

제주는 다시 젓가락을 들어 접시에 세번 구른뒤 평소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위에 가지런히 놓고 두 번 절한다.

제주에 이어 자손들이 절을 하면 차례가 끝난다.

절은 남자 두번,여자 두번반을 하며 절할 때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절을 다했으면 음식을 드시라는 뜻에서 밖에 나가 3~5분간 방문을 닫고
기다린다.

방문을 열고 들어가기 전에 인기척을 세번 한다.

제주와 차례 참석자들이 모두 다시 절하고 지방을 불태운다.

상을 다시 차린 뒤 나눠 먹는다.

< 김재창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