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마틴 트로교수는 1974년 "엘리트 고등교육에서 대중교육에로의
전환문제"라는 논문에서 선진국가의 고등교육은 엘리트 단계에서 대중화
단계를 거쳐 보편화 단계로 옮아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이 논문에서 그는 해당 연령층의 고등교육 취학률이 15%를 넘으면
대중화단계에 들고, 50%를 넘으면 보편화 단계에 들어서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미국은 고등교육이 보편화단계에 들어가고 있고, 서유럽과
일본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다른 회원국들은 대체로 대중화
후기단계에서 보편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벌써 20여년전 일이니까 당시 대학정원억제만을 최상책으로 밀어붙이고
있던 한국정부관리들에게는 트로교수의 이런 견해는 아마 먼 꿈속의
이야기처럼 들렸을 것이다.

그러나 상황은 달라졌다.

공식통계에 따르면 해방 당시 남한의 19개 고등교육기관 (전문학교
18개포함)의 한국인 재학생은 통틀어 7,800여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50년이 지난 95년에는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이 287개교(전문대
145개포함)에 189만여명에 이르는 놀라운 증가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 전문대학 등을 포함한 고등교육의 인구는 해당연령층의 15%를
약간 상회하는 숫자로 나타나고 있으니까 한국의 고등교육도 이제는
엘리트단계를 지나 대중화단계에 와 있다고 볼수 있다.

교육개혁위원회가 직업교육체제 개편안을 마련하면서 내놓은 안중에
"신대학"이란 생소한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산업체 근로자가 직업현장을 떠나지 않고도 산업현장에서 실습교육을
중점적으로 받으면서 전공및 이론교육은 멀티미디어를 이용해 받을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대학을 말한다.

전문대나 대학과정은 물론 석사과정도 밟을수 있고 학위도 주도록
돼 있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공부를 할수있는 것은 고등교육의
대중화 보편화가 이루어져 가고 있는 정보화시대의 시대적 요청이다.

하지만 "신대학"은 아직 "꿈"같이만 느껴진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신대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의식개혁, 기업의 임금 고용관행
등 일터의 개혁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능력과 노력에 따라 사회적 기능과 대우가 배분되는 원칙은 옳다.

그러나 자칫 실험적 교육이 교육 인플레를 초래할지 모른다는 걱정이
앞선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