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초 독일인 구텐베르그(Gutenberg)는 금속활자를 발명, 맨처음 "성서"
를 인쇄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가장 타격을 받은 것은 필사본의 "성서"로 하늘나라에
관한 정보를 독점하고 있었던 사제계급이었다.

''성서''가 보급되자 일반사람들도 사제와 같은 정보를 가짐으로써 정직자는
고고할 수 없게 되고 사생활에 대한 비판이 일어난다.

종교개혁이 유도된데 이어 사제로부터 권위를 받은 봉건귀족들의 위신이
실추, 봉건제도에 금이 가면서 국민국가를 촉진시켰다.

각종 서적이 출판되자 과학혁명이 일어났다.

산업혁명 공업화, 그리고 오늘날 컴퓨터와 통신에 의한 정보혁명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컴퓨터/통신이 야기한 제2차 정보화혁명의 파급효과는 인쇄술의 경우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강한 충격을 사회 전반에 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변화에 관한 기본적 구조는 기존 권위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여
놀라울 만큼 처음의 정보혁명(인쇄술)의 경우와 일치한다.

봉건제도에서 국민국가로 전환한 것보다 더 빠르게 국민국가는 국제화돼
가고 있다.

국가권력과 여러 사회계층의 권위가 무너지고 가격과 가치의 파괴가 계속
폭발적으로 이어진다.

요즘 한국을 포함한 세계 여라나라에서는 부패 비리척결이 속속 진행중
이다.

종전에는 권력이 독점하고 있던 모든 정보가 일반 시민에게 여지없이
알려지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 있었던 과거 청산의 단서도 사소한 정보누설이 계기가
됐다.

왕실의 혼외정사마저도 순식간에 전세계에 폭로될 판이다.

중요한 정보가 어느 곳에서 나올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파스칼은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한치만 낮았더라도 역사가 변했을 것이다"
라고 했다.

당시 역사의 흐름은 왕비의 미모, 영웅 호걸의 용맹심 등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지금의 역사는 "나비효과"에 의해 결정된다.

오늘 서울거리에서 날던 나비가 일으킨 바람이 내일 뉴욕에 폭풍우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 무슨 일이 발생할지 모르는 카오스의 시대임을 실감시킨다.

"불확실성의 시대"라고 일컫는 현대적 상황은 어떤 나비의 날개에서
일어난 바람이 내일의 폭풍으로 이어지게될지 아무도 예측할수 없다는
말이다.

이제 나라의 미래를 움직이는 것은 정치가 권력자 재벌도 아닌 이름없는
백성이며 대중이다.

우리는 이미 국민국가 형성의 시기에 그 흐름을 외면해 일제식민지가 되는
쓰라림을 체험한바 있다.

역사적 흐름에 잘 적응할수 있는 민족만이 번영할수 있다.

과연 한국인은 정보화시대에 적응할수 있을까.

우리의 원형에는 정보화에 순기능과 역기능을 하는 두가지 경향이 있다.

한국인은 매우 슬기롭다.

한글도 발명했으며 보다 중요한 사실로서 고려금속활자는 구텐베르그보다
1백년이나 앞서 발명했다.

그러나 우리는 종교개혁 과학혁명 산업혁명 근대화혁명중 어느 하나도
성공시킬수 없었다.

구텐베르그이래 서구사회에서 가장 많이 인쇄한 것은 "성서"였고 한국
역시 "불경"이었다.

서양과 한국 둘다 종교서라는 의미에서 이들 사이에는 아무런 우열이
없다.

문제는 두번째로 많이 인쇄된 책의 내용이다.

서구에서는 유클리트 기하학이었는데 한국에서는 토정비결이라는 웃지못할
사실이 있다.

그들이 이성적이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은 미신적이었다.

현재 한국 반도체산업은 매우 활발하며 전세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컴퓨터의 보급률도 높다.

그러나 요즘 컴퓨터에 입력된 토정비결이 유행이며 백화점마다 그 코너가
설치되어 있다.

모처럼 금속활자를 발명해 놓고도 좌절했던 조상의 우행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한편 한국인의 평등의식, 생명력은 정보화 국제화의 흐름에 잘 어울릴수
있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진출은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국적 마을의식은 의병의식으로 승화되어 나라와 민족을 지켰다.

특히 한국인은 대대로 변화가 격심한 풍토에서 천수답 농법으로 살아왔다.

"살아있는 입에 거미줄 치지는 않는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라는 속담도 있으며 왕성한 생명력과 변화에 잘 적응하는 능력은
세계제일이다.

우리가 스스로의 원형과 정보화시대의 실상을 잘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적응하려고 노력만 한다면 밝은 미래가 열릴 것이다.

1996년 1월 정초.

반성과 함께 큰 희망을 품어보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