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등 전파를 이용한 통신수단이 각광을 받으면서 주파수에 대한
기업과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들은 2000년대 유망산업인 PCS(개인휴대통신), TRS(주파수공용통신)
등의 무선통신사업을 하고싶어도 주파수가 모자라 안된다는 정부의 설명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주파수( Frequency )란 전파가 공간을 진행할때 생기는 파동이 1초동안에
진동하는 횟수이다.

여기서 전파란 인공적인 유도없이 공간을 전파하는 3,000 GHz
(기가헤르츠)이하주파수의 전자파라고 전파법에서는 규정하고 있다.

전파는 그이용 특성상 동시에 동일장소에서 혼신없이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한정된 주파수만을 사용해야하므로 유한한 자원으로 불리고 있다.

각국이 주파수를 포함한 전파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하는 정책을
펴는것도 이때문이다.

전파는 따라서 다른사람이 동일전파를 발사하면 혼신으로 인해 통신이
되지않으므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사용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대역과 그 속성이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주파수대역은 중파(MF)단파(HF)초단파(VHF)극초단파(UHF)밀리미터파(EHF)
등으로 나뉜다.

<>중파는 300~3,000 KHz대의 전파를 말하며 전리층을 통한 효율적인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므로 해상항법 중파방송 이동및 고정통신등에 이용되고 있다.

<>단파는 3~30 MHz대의 전파로 단파방송 군사통신등에 사용되고 유사시
위성통신이나 기간통신망의 보조수단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편이다.

<>초단파는 30~300 MHz대의 전파로 잡음이 적어 TV방송 FM라디오방송이동
통신및 위성통신등에 이용된다.

한국이동통신이 무선호출(삐삐)주파수로 쓰고있는 150 MHz 대역이 여기에
포함된다.

<>극초단파는 300~3,000 MHz대의 전파로 전파형태는 초단파와 동일하며
위성통신 고정및 이동통신 TV방송등에 사용된다.

여기에는 현재 차량및 휴대전화 주파수대역(800 MHz)과 한국이동통신및
제2무선호출사업자들이 사용하는 무선호출대역이 해당된다.

<>밀리미터파는 30~300 GHz대의 전파를 말하며 현재는 거의 활용되고 있지
않으나 광대역의 영상신호나 디지털전송에 적합한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같이 주파수대역이 유한한 까닭에 세계 각국은 사용중인 주파수에
대한 엄격한 관리와 함께 새로운 대역의 주파수개발에 힘쓰고 있다.

국내에서는 정보통신부장관이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국을 허가하고 있고
불법무선국적발과 혼신조사및 제거활동을 벌이면서 전파이용질서를 확립해
나가고 있다.

전파는 오늘날 이동전화 주파수공용통신등의 이동통신, 기간마이크로파통신
방송등 여러분야에 걸쳐 폭넓게 이용되고 있고 사회 경제활동의 발전과
더불어 국민생활에 필요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정통부는 이같은 전파이용수요에 대비해 CDMA방식의 디지털 이동전화시스템
등 새로운 전파이용기술의 개발과 함께 현재 이용중인 주파수대의 이용
증대와 미이용 주파수대의 연구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또 새로운 무선서비스의 도입이나 기술개발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주파수이용계획의 사전예고제를 도입, 향후 이동통신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1~3 GHz대역의 이용계획을 확정 공개했다.

< 김형근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9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