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가전제품이나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촉진을 위해 난지도에 건립키로 한
재생처리시설이 서울시와 한국자원재생공사의 의견대립으로 건립계획조차
마련치 못하고 겉돌고 있다.

6일 서울시와 한국자원재생공사에 따르면 이들 재생처리시설을 난지도
(마포구 성산동 553)에 6천9백여평 규모로 가건물로 짓자는 시와 영구적
시설로 건설하자는 공사측의 이견으로 착공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난지도 폐플라스틱 재생처리 시설은 수거된 플라스틱을 색깔별로 선별,
파쇄해 재생업체가 쉽게 처리할수 있는 중간재료를 만드는 시설로 연간
9천t의 처리규모로 당초 지난 5월중 착공 예정이었다.

또 폐가전제품 재생처리 시설도 난지도에 4천4백50평 규모로 건설해 하루
80여t씩 부품별로 분해,재활용하려는 시설이다.

그러나 시는 난지도가 "시가지 조성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아직 토지이용
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공사측의 주장대로 영구시설물을 건설할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반해 재생공사측은 수도권에서만 하루 1백66t씩 쏟아져 나오는
폐플라스틱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 시설의 건설이 시급하며
기계설비적 측면에서 임시 가설공장은 타당성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시와 재생공사는 이 문제를 놓고 다시 협의할 계획조차 없어 서울
시내에서 각각 하루 1백66t,30t씩 발생하는 폐플라스틱과 폐가전제품을
계속 매립해야할 형편이다.

< 송진흡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