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년에 20만원을 내고 최고1억원짜리 화재보험에 들었다고 치자.

다행인지 불행인지 집에 불이 나면 1억원의 보험금을 탈수 있지만 불이
안나면 본전조차 되돌려 받을수 없게 된다.

자동차보험도 마찬가지다.

매년 수십만원의 보험료를 냈으나 무사고로 보험회사만 재미봤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보험은 적은 돈으로 큰 돈을 보상받을수도 있지만 본전생각이
날때가 있다는 면에서 도박과 유사하다고 할수 있다.

이때문인지 과거 한때 도박보험이란 별난상품이 인기를 끈 적도 있다.

그대표적인 사례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대한 도박보험증권.

나폴레온이 1813년 6월21일 이전에 사망하느냐 또는 붙잡히느냐가 보험의
대상이었다.

현재 영국 로이드기념관에 그증권이 보관돼 있다.

이외에도 몇가지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18세기 당시 오랜기간 영국수상을 지낸 로버트 월폴의 목숨이 도박보험의
대상이 되어 매일매일 그의 건강상태변화에 따라 도박율이 변했다 한다.

1745년 사망시에는 실제로 수천건의 계약이 그에게 붙여 있었다고
전해진다.

또 조지2세에 대해서도 그가 전쟁(1747년)에서 무사히 귀환하느냐의 여부가
도박보험의 대상이 되었다.

심지어 루이15세와 연인관계에 있던 몇명의 여인이 언제까지 왕의 사랑을
받을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을 계약대상으로 삼은 적도 있다한다.

이처럼 유럽에선 보험의 대상이 된 사람도 모르는 새 그사람의 생명이
보험에 붙여지는 이른바 "갬블"로서의 도박보험이 유행했었다.

그러나 보험이 도박과 유사한 면이 있다해도 보험은 "대수의 법칙"이라는
통계와 이에 근거한 과학적인 예측기법을 토대로 설계된다는 점에서 도박과
는 전혀 다르다.

대수의 법칙은 간단한 개념이다.

가령 10원짜리 동전을 공중에 던져 앞뒤면이 나오는 비율을 살펴보자.

한두번 던져서는 그 비율이 일정치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여러번 던질수록 앞면과 뒷면이 나오는 비율은 5:5에 가까워진다.

동전을 7만9천번을 던져봤더니 앞면이 50.57% 뒷면이 49.43%로 나타났다는
실험결과도 나와 있다.

거의 단순예상확률치(2분의 1)에 가까운 숫자가 나온 셈이다.

대수의 상황에선 미래가능성에 대해 큰 오차없이 예측할수 있단 얘기다.

보험이 암이나 화재등 동일한 위험을 가진 여러 사람이 하나의 집단을
만들어 적은 추렴(보험료)을 모아 한사람의 불행을 돕는 제도라고 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보험사에서 보험을 설명하면서 "만인은 일인을 위해 일인은 만인을 위해"
라는 구호를 곧잘 인용하는 것도 이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