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노동조합간부들은 노동운동하기가 예전만 못하다고 불평한다.

1-2년전까지만 해도 노조행사가 있으면 조합원 대부분이 참여,노조활동
하는데 별 불편을 겪지 않았는데 최근들어서는 근로자들이 잘 모이지
않기때문이다.

"지난87년이후 임금이 크게 인상되면서 근로자들사이에 자신도 중산층
이라는 의식이 확산되고 있는데다 사회변화에 따른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진 탓인지 노동운동하기가 예전 같지 않읍니다"

인천 대우자동차 김계수노조위원장의 하소연이다.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과잉보호속에서 자란 이른바 "X세대"들의 사회
진출로 조직력이 약해지고 개인주의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최근에는 이같은 개인주의 풍조와 "노사분규가 더이상 근로조건을 개선
시키지 않는다"는 인식이 전국사업장으로 확산되면서 노조집행부의
파업시도가 실패하는등 산업현장이 급격히 변화고 있다.

지난7월 대우조선 노조집행부의 파업시도가 근로자들의 거부로 실패한
것은 강경투쟁보다 실리로 전환되고 있는 근로자들의 의식변화때문이다.

명분과 실리를 외면한 투쟁을 위한 파업에 근로자들은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지난8월 장기간 파업중이던 울산 현대중공업노조내부에서 일어났던
집행부에 대한 "반란"도 같은 맥락으로 볼수있다.

이회사의 노조내 일부대의원들은 장기파업으로 근로자들이 임금손실을
빚고 있다며 위원장은 파업종결을 위해 회사측과 조건없는 협상을 재개
하는 결단을 내리도록 촉구했다.

노동전문가들은 이같은 근로자들의 의식변화에 대해 그동안 여러차례
노사분규를 겪으면서 파업에 싫증을 느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장기파업으로 인해 경영상태가 악화되면 피해자는 결국 자신이라는
인식이 근로자들사이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동부의 김화겸노사조정과장은 "이제 사회도 안정기로 접어들은데다
근로자들의 의식이 성숙돼 가고 있어 과격노사분규는 점차 사라지고
있을뿐 아니라 노동운동도 정치조합주의세서 경제조합주의로 옮아
가고 있다"고 말했다.

불과 1-2년전만 해도 노사협상은 곧 "노사결투"를 의미했으나 이제는
화합을 위한 노사공존의 장으로 그 성격이 바뀌고 있다.

근로자들의 이런 변화의 흐름은 산업현장 곳곳에서 여러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대우전자노조는 지난6월 "품질.서비스및 자사제품 알리기"캠페인을
가진뒤 전조합원이 참여하는 "고객에게 편지보내기운동"을 전개했고
태평양화학도 지난2월 노동조합이 주관이 돼 생산성향상운동과
자사제품 홍보활동을 벌였다.

과거 투쟁중심의 노조분위기에서는 상상할수도 없는 일이고 자칫 어용
시비에 휘말릴 우려가 있지만 조합원들의 의식이 변한 만큼 별무리없이
추진되고 있다.

근로자들 모두가 국제화,개방화시대를 맞아 노사화합이 없이는 살아
남을수 없다는 점을 인식했기때문이다.

동성철강,동아생명,금성사 노동조합등도 노사화합한마음대회,3애운동,
자사제품판매하기등 각종형태의 구사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최근의 한국노총이 전국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동운동에 대한
의식조사에서도 근로자들의 의식이 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조사에서 응답자의 63.4%가 노동운동의 최우선과제로 임금인상,
노동시간단축, 근로조건개선등 근로자의 실리추구를 꼽았다.

반면 정치활동참여와 해고자복직등 인사,경영권에 관한 사항을 우선
과제로 꼽은 근로자는 3.3%에 불과했다.

나머지 14%는 주택,조세,물가,교육등에 관한 정책건의활동을 우선과제로
지적했고 노동법개정활동과 노동조합의 조직,운영및 활동에 관한 사항을
꼽은 응답자는 각각10.4%,9.1%로 나타났다.

노동운동의 무게중심이 그동안의 정치적 투쟁에서 실리쪽으로 옮아가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대목이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9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