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제지 환경품질보증실은 지난해부터 색다른 작업을 추진중이다. 그동안
일부에서 공해업종으로 인식돼온 제지업종에 대한 관점을 완전히 탈피시키기
위해 전주공장을 완전히 무방류공장으로 전환하려는 프로젝트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첫번째 대상은 폐수를 일체 방류하지 않겠다는 것. 멤브레인이란 특수설비
를 활용, 폐수를 일체 공장바깥으로 내보내지 않고 공장안에서 정화해
재사용하는 체제를 만들 방침이다. 여기에 투입될 비용은 약7백억원. 이미
1차로 1백억원을 들여 일부설비에 멤브레인을 설치했다.

이 작업안에는 기존의 제지생산에 들어가는 연료를 방카C유에서 LNG로
전환하는 방안도 포함돼있다. 한솔이 폐기물처리부문에 이처럼 집중투자를
하기로 한것은 기후환경협약등 다가올 GR압박환경문제에 대응키 위한
전략이다.

그러나 요즘 한솔의 고민은 GR압박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보다 발등에
떨어진 고지수입문제에 비상이 걸려 있다. 환경처가 종이생산에 필수적인
원자재인 고지를 폐기물국가간이동처리법상의 폐기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
때문이다. 업계는 국내지류생산에 필요한 고지소요량은 2백32만t인데 비해
국내고지의 회수량은 2백32만t에 불과, 1백60만t규모의 고지를 수입해오지
않을 수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힌다. 따라서 고지를 폐기물로 지정할 경우
원자재를 충분히 조달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한다.

이에대해 환경처는 고지를 바젤협약에서 규제범위로 정할 경우 고지를
폐기물의 대상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는 관점이다.

"고지가 폐기물인가 아니면 재활용품인가". 이 문제를 두고 비상이 걸린
건 한솔제지뿐만 아니라 무림제지등 전체 제지업계가 마찬가지이다.

그동안 폐수처리설비만 완벽하게 갖추면 될 것으로 판단해온 업계에 심한
타격을 주고 있다.

따라서 제지업체들은 그동안 폐수처리분야에 집중투자하던 환경분야투자
비용을 고지획득등 바젤협약 관련부문에도 집중투자하기로 했다.

더욱이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이산화탄소규제로 벙커C유 소비가 제한될
경우 LNG로 대체하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한솔의 박재후이사는 "오는 98년까지 사용연료중 50%를 LNG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다가올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무림 계성
등도 이와 비슷한 장기대책을 마련중이다.

다만 LNG사용이 의무화되면 모든 초지기에 부착된 보일러설비를 LNG에
맞춰 재설치해야 하는 것은 물론 공장구내로 LNG를 끌어들이는 배관공사를
해야 하는등 비용부담을 엄청나게 안아야 하는 만큼 투자재원확보에 어려움
을 호소하고 있다. 중소제지업체의 경우 설비대체비용으로 10~40억원을 잡고
있는데 비해 대기업들은 2백억원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제지업체들은 기후변화협약은 지구환경보호 차원에서 따르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인데 비해 고지수입문제 만큼은 양보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다음으로 업계는 국제표준화작업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느라 부심중이다.
업계는 ISO18000으로 불리는 이 작업의 파장을 현재로선 정확히 예측하기
힘들지만 최소한 기후변화협약보다는 클 것으로 전망하고 생산공장의 모든
공정이 환경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정보수집에 급급하고 있다. 이것은
원재료나 생산후의 폐수등 폐기물의 처리도 환경기준에 맞아야 하는등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다행히 제지업체들은 폐수처리에는 수년전부터 지속적
으로 투자하고 있어 어느정도 대응책을 갖춰가고 있다.

이제 국내 제지업계가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이들 과제가 심각해지기
이전에 수입고지를 줄이는 한편 장기계획을 세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산업구조로 바꿔나가야 할 수 밖에 없을 것같다.

<김낙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