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미8군 기지 자리에 들어설 예정인 "민족대공원"추진계획이
공원조성 비용 부담 문제와 관할 책임 소재를 둘러싼 관련 부처간의
이견으로 표류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89년 5월 오는 97년 미군 기지 이전으로 남게될
1백여만평의 땅에 정부예산으로 휴식공원으로서의 기능과
민족공원으로서의 상징성을 갖는 대형 도심 국립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국립공원 관할부서인 내무부에서 "민족대공원"은 시립공원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 공원조성의 주체를 놓고 마찰을 빚고있다.
건설부가 주관하던 국립공원 관할권을 올해부터 넘겨받아 국립공원
조성업무를 맡게 된 내무부는 <>미8군 부지가 우리나라를 대표할만한
뚜렷한 자연경관을 갖추고 있지 않고 <>공원이 조성되면 이용객의 대부분이
서울시민이 될 것이라는 등의 이유를 들어 민족대공원은 시립공원으로
조성돼야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서울시는 그러나 "민족대공원"이 <>인공적인 조성을 통해 민족적인
상징성을 갖출 수 있으며 <>이용객도 독립기념관처럼 서울 시민에 국한되지
않고 전 국민이 될 것이므로 국립공원으로 조성되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양측의 이견조정을 위해 89년 12월 노태우대통령의
지시로 총리실 산하에 경제기획원, 건설부등 4개 부처 장관과 서울시장을
위원으로 하는 "용산 계획위원회"를 설치, 공원조성사업에 관한 협의를
벌여왔으나 지난 6월 이전한 미8 군 골프장 부지에 시민 가족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합의한 것 이외에는 아무런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 예산부담 들어 서울시.내무부 줄다리기 ***
서울시와 내무부가 이처럼 줄다리기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공원
조성에 따르는 엄청난 비용 때문.
"민족대공원"을 국립공원으로 조성키로 결정될 경우에는 내무부가
사업주체가 돼 약 1조원에 달하는 용산미군기지 이전 비용과 함께 각종
공원 시설 설치비를 정부예산으로 부담해야하는 반면 시립공원으로
하게되면 서울시가 이들 비용을 떠안을 뿐만 아니라 1조원 가량으로
추정되는 땅값을 내고 정부로부터 부지를 매입해야 하 는등 막대한 서울시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용산 미군 기지 터가 1884년 갑신정변 때
일본군이 이 지역에 주둔한 이래 지금까지 줄곳 외국군에 의해 사용돼 온
곳이므로 민족적인 자존심을 회복하고 앞으로 통일에 대비한다는
차원에서라도 국립공원을 조성, 민족 정기를 복돋우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서울시는 현재 지하철 공사에 따르는 부채의 누적과
앞으로 추진될 도시지하 고속도로 건설등 투자해야 할 사업이 많아 이같이
막대한 비용을 부담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재정상의 어려움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