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기로…노동·규제개혁 성과 내는 새해 되길"

경제단체장 신년사

최태원 "고난 극복 기회 삼아야"
허창수 "전방위 구조개혁 추진"
손경식 "기업 존중받는 한해로"
구자열 "세계화 후퇴에 대응을"
김기문 "주 52시간제 유연화"
최진식 "민간주도성장에 박차"
주요 경제단체장들이 내년을 노동·구조 개혁이 성과를 내는 해로 만들자고 입을 모았다.

주요 경제단체는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신년사를 내놨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신년사에서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정부와 국회의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손자병법>에 나오는 ‘이환위리(以患爲利: 고난을 극복해 오히려 기회로 삼는다)’를 언급하며 “우리 기업이 글로벌 기업들과 동등한 수준에서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적극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노동·규제·교육과 같은 개혁 과제를 일관성 있게 추진해 한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다시 끌어올리는 자양분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은 “내년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으로 한국 경제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대대적 구조개혁으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회장은 한국의 상황에 대해 “성장과 퇴보가 갈리는 갈림길에 서 있다”고 정의한 뒤 “‘환부작신(換腐作新: 썩은 것을 도려내 새것으로 바꾼다)’의 자세로 전방위적 구조개혁을 추진해 글로벌 경제 선진국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했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은 “급격한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동시장 개혁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했다. 손 회장은 “초기 산업화 시대에 형성된 낡은 노동법과 불합리한 관행이 노사 간 힘의 불균형을 초래했다”며 “새해 기업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은 “지난 30년간 이어진 세계화 흐름이 후퇴하면서 상품 교역과 투자가 둔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구 회장은 “이 같은 변화는 큰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지만 한발 앞서 대응한다면 기술과 산업 혁신을 앞당기고 한국 경제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경제 한파 속에서 중소기업계가 자칫 방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며 “효과적인 정책을 정부에 제안해 중소기업의 경제위기 대응력을 높일 것”이라고 했다.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은 “물꼬가 트인 민간주도성장 패러다임이 열어갈 길에 중견련이 함께하겠다”며 “중견기업 특별법 개정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한신/정지은/김재후/김익환 기자 ph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