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프라임사업 대형 유형 선정 9개 대학 / 교육부 제공
<표>프라임사업 대형 유형 선정 9개 대학 / 교육부 제공
[ 김봉구 기자 ] ‘단군 이래 최대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대학가 관심이 높았던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사업 선정 결과가 3일 발표됐다. 150억원을 지원받는 대형(사회수요 선도대학) 유형에서 건국대와 숙명여대가 선정된 반면 중앙대, 경희대는 고배를 들었다.

이같은 서울권 대학의 엇갈린 성적표에는 학내 구성원 합의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이다.

사업관리위원회는 대학별 중장기 발전계획과의 부합 정도, 교육과정 운영계획, 재정 집행계획의 적정성 등과 함께 △학칙 준수 여부 △구성원 대표성 △합의과정 공개 여부와 투명성 △축소·폐지 학과 보호 및 지원대책 등 구성원 합의 관련 평가항목에 주안점을 뒀다.

프라임사업 선정을 위한 인위적 정원조정보다는 특성화 분야나 기존 계획과 연계해 ‘연착륙’ 가능한 대학이 평가에서 비교우위를 점했다는 뜻이다.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건국대(정원이동 규모 521명)는 전통적으로 강점을 가진 바이오 분야에 공학을 접목시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숙명여대(250명)의 경우 프라임사업 추진 전인 2013년부터 공과대학 신설 계획을 수립해 꾸준히 준비해온 점이 주효했다.

프라임사업 신청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내 반발이 컸던 중앙대와 경희대는 탈락했다. 이들 대학의 정원이동 규모 자체는 선정 대학에 비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앙대는 정원조정을 포함한 학사구조 개편을 추진하면서 박용성 전 이사장의 막말 파문이 불거지는 등 홍역을 치렀다. 경희대도 지난해 말 국어국문학과를 웹툰창작학과로 만들 수 있다는 내용 등이 공개돼 격렬한 반대에 부딪친 바 있다. 결국 사업 선정에 악재가 됐다.

교육부는 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하며 “대형 선정 대학은 대부분 작년 초 교육부 업무보고에서 사업 추진 발표 후 1학기 때부터 일찌감치 구성원 논의를 시작했다. 평균 7.8개월, 길게는 11개월 정도 걸려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이날 프라임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대형 9곳, 소형(창조기반 선도대학) 12곳 등 총 21개교다. 당초 대형 가운데 최고 평가를 받은 대학에는 300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최종적으로 300억원 지원 대학을 별도 선정하지 않았다.

사업 선정 21개 대학 전체 입학정원의 약 11%에 해당하는 5351명이 프라임 분야로 이동하며 늘어난 정원의 대부분(4856명)은 공학 분야다.

[다이어터, 내 손안의 헬스트레이너에 빠지다], ['노쇼(No Show)'와 싸우는 항공사들…잇따라 위약금 도입], [실용과 효율이 만난 '장르 파괴자', 기아차 니로], [노정동의 빵집이야기, 농부가 만든 '우리밀' 빵집][돌발 황금연휴엔 쇼핑도 '꿀맛'…유통가 대대적 할인행사 채비], [신동원 휘문고 교장 "강남 고교가 '정시형'이라는 편견 깬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