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2회 무역의 날인 지난 5일 무역협회와 코엑스 임직원 및 무역아카데미 홍보대사들이 삼성동 코엑스 앞에서 ‘한국무역의 새로운 도전, 창조와 혁신으로 넘습니다’란 글자를 들어 보이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제52회 무역의 날인 지난 5일 무역협회와 코엑스 임직원 및 무역아카데미 홍보대사들이 삼성동 코엑스 앞에서 ‘한국무역의 새로운 도전, 창조와 혁신으로 넘습니다’란 글자를 들어 보이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올해는 세계 경기 악화와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2011년 이후 5년 만에 무역액 1조달러 달성이 어려울 전망이다.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 구조를 감안하면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그리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비중이 늘어나고, 화장품과 가공식품, 문화콘텐츠 등 새로운 품목이 수출 효자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무역의 질 개선 덕분에 올해 세계 수출 6위 진입이 예상된다. 또 중국, 베트남, 뉴질랜드와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한국은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74.6%에 달하는 51개국과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간다면 수출의 미래도 밝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무역액 1조달러 달성 실패

['글로벌 코리아' 52회 무역의 날] '한·중 FTA 엔진' 달고 한국 수출 다시 달린다
올해 한국의 무역 규모는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연간 무역액 1조달러를 달성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1조달러 달성에 실패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2015년 수출입 평가 및 2016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수출은 지난해보다 7.1% 감소한 5320억달러, 수입은 16.3% 줄어든 4400억달러로 총 무역액은 9720억달러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 무역이 10% 이상 감소하는 불황 속에 한국의 수출과 수입도 크게 줄어들었다. 올 들어 국제유가가 50%가량 하락하면서 지난 10월까지 석유화학, 석유제품 등 원유 관련 제품의 무역 감소액이 863억달러(수출 252억달러, 수입 611억달러)나 됐다. 작년 대비 전체 무역액 감소분 1093억달러의 79.0%를 차지했다.

한국의 올해 수출은 그러나 일본, 프랑스, 독일 등 경쟁국에 비하면 상당히 선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 세계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0%에서 올해 상반기 3.3%로 높아졌다. 세계 수출 순위도 7위에서 6위로 상승했다. 수출 물량 증가율도 상반기 5.6%로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일본보다 높았다.
['글로벌 코리아' 52회 무역의 날] '한·중 FTA 엔진' 달고 한국 수출 다시 달린다
내년부터 개선될 전망

내년 무역 환경은 올해보다 다소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세계 경제는 선진국의 경기 회복과 저유가 지속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올해 3.1%보다 높은 3% 중반대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교역량도 4% 내외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무역협회는 한국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이 내년에 각각 7.8%, 2.7%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가가 안정되고 주요국의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 경기가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일반기계(2.8%), 무선통신기기(2.1%), 자동차(1.0%) 분야 수출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글로벌 공급 과잉이 지속되는 조선(-2.6%), 디스플레이(-2.3%), 철강(-1.3%)은 수출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한국 수출은 올해와 비교해 2.3% 증가한 5440억달러, 수입은 4.8% 늘어난 4610억달러로 무역 규모는 1조50억달러가 될 것으로 무역협회는 추정했다. 이에 따라 내년 무역수지는 830억달러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의 질 좋아졌다

올해 수출 품목은 뷰티 및 푸드, 문화콘텐츠 등 생활과 밀접한 분야로 크게 확대됐다. 기술 개발을 통한 제품 차별화와 한류 활용 마케팅으로 세계인의 취향을 사로잡았다. 한국의 화장품 수출 증가율은 2013년 24.2%에서 지난해 51.6%로 높아졌으며 올 들어 지난 10월까지는 무려 58.2%를 기록했다. 한류 바람을 탄 문화콘텐츠 수출은 2010~2014년 동안 연평균 15.7% 늘었다. 올해는 8.0%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문화콘텐츠 시장 규모는 올해 세계 9위로 전년에 비해 두 단계 상승했다. 상품 수출액 대비 문화콘텐츠 수출액 비율은 2010년 0.68%에서 지난해 0.93%로 높아졌다.

수출 품목이 다양해지면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비중도 10월까지 35.7%로 지난해 33.8%보다 올랐다. 대신 반도체 등 10대 주력 품목의 수출 비중은 10월까지 34.3%로 지난해 35.1%보다 낮아졌다. 김인호 무역협회장은 “산업과 기업이 업그레이드되고 경쟁력 있는 체제로 바뀌어야 수출의 외부 영향을 극복할 수 있다”며 “화장품, 의약품, 문화콘텐츠처럼 창조 혁신과 생활 분야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