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영웅호걸이 등장하는 소설 ‘삼국지’의 이야기에 매료돼 실제 중국사에서 ‘삼국 시대’를 찾다 보면 실망하기 쉽다. 눈에 잘 띄지 않아서다. 대신 진·한과 수·당의 통일 시대를 잇는 ‘위·진·남북조’ 또는 ‘5호16국’이라 부르는 시대가 자리 잡고 있다. ‘삼국지’로 대변되는 시기는 400여년간 이어진 위·진·남북조 시대의 서장에 해당하는 100여년에 불과하다.

[책마을] 우리가 아는 삼국지, 중국사의 티끌일 뿐
《삼국지 다음 이야기 1·2 》에서 저자는 난세의 전형으로 여겨지는 ‘삼국지’의 시기는 중국사에서 일부분일 뿐이며 동북아 역사 전체로 보면 그 위상이 더 작아진다고 말한다. 삼국시대에 이어지는 위·진·남북조 시대를 함께 읽어야만 전체 역사의 흐름을 하나로 꿰맞춰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삼국을 통일한 사마염의 ‘서진’부터 한족의 남조 정권과 흉노, 선비, 강, 저, 갈 등 북방 민족이 만리장성 이남으로 내려와 잇달아 세운 북조 정권이 대치하다가 수나라가 천하를 통일하기까지의 이야기를 인물 중심으로 들려준다.

서진을 기울게 한 황후 가남풍과 “먹을 것이 없다면 왜 고기로 죽을 쑤어 먹지 않느냐”고 신하들에게 물었던 ‘백치 황제’ 진혜제, 아들의 처참한 사형 장면을 신하들과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본 ‘만세의 폭군’ 석호(후조 황제), 수양에 몰두해 나라를 말아먹은 ‘황제 보살’ 양무제 등 이 시기를 살았던 폭군과 영웅들을 역동적이고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저자는 중국사를 중국 한족의 역사가 아닌 동아시아 역사의 관점으로 바라본다. 동북아 제도·사상에 영향을 미친 수·당 제국은 한족 왕조가 아닌 선비족이 세운 북위를 계승한 왕조며 줄곧 북방 민족의 정복 왕조가 점철됐고, 그 사이 한족이 세운 송과 명이 잠시 끼어든 것이다.

저자가 위·진·남북조 시대를 주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북방 민족이 처음으로 중국사의 전면에 등장해 주도권을 장악한 시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