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를 비롯 경제단체와 대학이 대학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ㆍ학ㆍ관 간담회에서 합의한 '기업주도 대학평가 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됐다.

기업의 인사책임자 등 산업계 인사들이 중심이 된 대학평가위원회가 내년 하반기부터 금융 건설 자동차 조선 등 기업활동과 밀접한 대학의 학과를 평가해 순위를 매긴다는 게 골자(骨子)다.

특히 전공관련 업종별 인재배출 성과 등 평가지표를 도입해 기업에 입사한 졸업생의 업무성과가 뛰어나고 산ㆍ학협력 실적이 우수한 학과에 높은 점수를 주기로 했다.

수요자 중심 교육과 교육 경쟁력 제고가 우리 대학의 당면 현안이 되고 있는 점에 비춰볼 때 그 의미는 각별하다.

우리 대학이 산업현장의 수요에 맞는 인력을 제대로 양성하지 못함으로써 엄청난 경제ㆍ사회적 낭비가 초래되고 있음은 새삼스런 얘기가 아니다.

기업은 첨단 융합적 지식과 창의적 능력을 가진 두뇌를 필요로 하는데도 대학은 여전히 특정 분야의 이론에 치우친 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까닭이다.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에 20개월 이상이 걸리고 경비 또한 1인당 평균 1억원 이상이 소요된다는 한국경총의 조사결과가 이를 잘 증명해주고 있다.

더욱이 대학교육협의회가 자체 실시하고 있는 분야별 대학평가와 종합평가제도 주요 대학의 불참에다 대학재학률 등 하드웨어 중심의 평가로 제기능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 점에서 대학의 실무형 인재육성은 우리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대학이 급변하는 산업현장에 맞춰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는지,기업이 원하는 기술을 가르치고 인재를 잘 길러내고 있는지를 대학평가의 핵심기준으로 삼는 것은 교육을 정상화하는 길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정부 등은 우선 대학평가위원회 구성에서부터 대학평가모델 개발에 이르는 준비작업에 만전(萬全)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엇보다도 졸업생에 대한 기업 만족도와 특정대학의 기여도를 공개하고,그 평가결과에 따라 재정지원을 차등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번 기회에 대학도 기업이 원하는 교육시스템을 갖추지 않고는 결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점을 깊이 새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