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실 칼럼] "쿨비즈룩이 정장보다 더 어려워요"
자율복장제 도입하는 기업들

요즘 쿨비즈룩에 관련한 기업들의 교육문의가 많아졌다. 쿨비즈룩은 한 때 사무실에서는 정장이나 비슷한 포멀한 복장이 일상이었던 시절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기온의 상승과 함께 직장 내 옷차림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고 있으며, 쿨비즈(자율복장) 제도가 점차 확산되면서 직장인들은 더 편안한 옷차림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는 철저한 드레스 코드가 강조되던 분위기였지만, 최근 기업들은 직원들의 편안함과 자유로움을 존중하는 경향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쿨비즈 룩의 도입은 다양한 산업 군에서 이뤄지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를 비롯한 대표적인 기업들이 이를 도입함으로써 보수적인 분위기의 철강업계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한편, 항공업계 역시 보수적인 이미지를 가졌지만, 일부 기업은 사무직 직원들을 중심으로 쿨비즈 룩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직원들은 쿨비즈 룩을 입는 것이 정장보다 더 어렵다고 한숨이다. 어느 정도까지 허용될지 걱정이 앞서기 때문이다.

성공적인 쿨비즈룩 정착 위한 세 가지

쿨비즈룩이 조직 문화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첫 번째, 경영진과 인사팀의 선도적인 참여와 표본: 쿨비즈룩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경영진과 인사팀이 먼저 편안한 복장을 입어 긍정적인 모범을 제시해야 한다. 포스코홀딩스는 자율복장제를 도입하면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의 지시에 따라 신속하게 시행했다. 이러한 경영진의 선도적인 참여는 직원들에게 새로운 문화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고, 쿨비즈룩이 조직 전체에 퍼지는 데 도움이 된다.

두 번째, 내부 커뮤니케이션 강화: 쿨비즈룩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여 직원들 간에 의견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직원을 위한 온라인 게시판에서 직원들의 개인 선택에 대한 존중을 표명하면서 쿨비즈룩을 논의하는 것은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좋은 사례이다.

세 번째, 교육과 함께하는 변화 관리:. 쿨비즈룩의 정착을 위해서는 변화 관리가 중요하다. 직원들에게 이러한 변화의 이유와 장점을 설명하고, 옷차림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여 일부 직원들이 편안한 옷차림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유연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HD현대그룹은 지난해부터 쿨비즈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직원들의 편안한 옷차림을 존중하는 사례를 보여준다.

직원들의 선택 존중하는 경영진의 역할이 필요

아직까지 직장인들은 편안한 옷차림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옷차림이 인사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와 예상치 못한 비즈니스 미팅 등의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직원들의 개인 선택과 존중을 바탕으로 한 쿨비즈 룩의 확대와 함께, 경영진과 인사팀의 선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함께하는 자율적인 분위기 속에서, 직원들은 자신의 편안함과 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직무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직원들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도 넘는 복장은 스스로 자중하는 조직문화 정착이 필요하다. 이는 기업의 성공과 직원들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다.

박영실
퍼스널이미지브랜딩랩 & PSPA 대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겸임교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이미지코칭전공 겸임교수
https://www.youtube.com/@PersonalImageBranding
세상을 이끄는 0.1% 성공리더들이 찾는 이미지교육학자로 CEO 및 각계 각층 오피니언 리더들 대상으로 맞춤 컨설팅하는 PI전문가다. KBS TV 아침마당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전문가 및 패널로 출연했다. 한경비즈니스 [박영실의 이미지브랜딩] 칼럼 연재중이고 나를 설명하는 힘, 퍼스널이미지브랜딩을 비롯해서 총 10권의 저서를 집필하면서 평생배움의 가치를 추구하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한경닷컴 The Lifeist> 퍼스널이미지브랜딩랩 & PSPA 대표 박영실박사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