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혼한 남녀 이른바 '돌싱'(돌아온 싱글)들이 결혼 생활 중 이혼을 망설이게 한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자식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산다"는 말이 떠오르지만, 자녀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니었다.

재혼정보회사 온리-유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와 함께 지난 17~22일 전국 재혼 희망 돌싱 남녀 518명(남녀 각각 259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25일 발표한 결과 남성은 '그동안(결혼 생활 중)의 노력'(30.1%), 여성은 '불투명한 미래'(28.6%)를 가장 많이 꼽았다.

2위로는 남녀 모두 '자녀'(남성 26.3%·여성 27.0%)를 선택했다. 이어 남성은 '불투명한 미래'(21.2%)와 '이혼에 대한 선입견'(15.1%)으로, 여성은 '이혼에 대한 선입견'(22.0%)과 '그 동안의 노력'(15.8%)으로 나타났다.

온리-유 관계자는 "남성 중 특히 10년 이상 장기간 결혼 생활을 영위한 남성들은 그 동안 가정의 주 경제권자로서 집을 마련하고 자녀 양육에 필요한 재원 등을 마련하기 위해 전력 질주한 과거가 아깝게 생각된다"며 "여성은 그동안 경제적 보호막 안에 있다가 울타리 밖으로 나가게 되는 데 대해 불안감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혼을 결심할 수 있도록 용기를 준 건은 무엇이냐'는 물음에서는 남성은 '돌싱의 증가’(31.3%), 여성은 '이혼 관련 방송'(28.2%)이 각각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남성은 '이혼 관련 방송'(25.1%), '재혼 성공 사례'(21.2%), '부모·형제'(15.8%) 등의 순이었다. 여성은 '부모·형제'(25.4%), '자녀'(23.2%), '돌싱의 증가'(16.2%) 등의 순으로 답했다.

'전 배우자와 이혼을 하면서 결혼 생활에 대해 본인이 반성해야 할 사항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서는 남녀의 대답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

남성은 '신뢰감을 못줌'(32.1%), 여성은 '차이 인정 노력 미흡'(33.2%)을 각각 가장 많이 선택했다. 2위 이하는 남녀 똑같이 '상대 존중 노력 미흡'(남성 24.3%·여성 26.3%), '공감대 형성 노력 미흡'(남성 19.7%·여성 18.2%)과 '역할 수행 미흡'(남성 16.6%·여성 1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결혼 감소로 함께 줄어들던 이혼은 올해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통계청의 최근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4월 이혼 건수는 3만22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