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민간 의료진 공동 연구…"예방접종이 '롱코비드' 후유증도 줄여"
"2차접종자, 코로나 감염 후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절반 이하"
코로나19 예방백신 2차접종을 받은 사람은 미접종자에 비해 감염 후 심근경색, 뇌경색 등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이 절반 이상 낮아진다는 국내 연구팀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6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민관 공동연구 중 '예방접종에 따른 코로나19 감염 후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도에 대한 분석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2020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국내에서코로나19에 감염된 성인 23만여명을 대상으로 확진 이후 급성심근경색과 허혈성뇌경색 발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2차접종군은 미접종군에 비해 코로나19 감염 후 급성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52%(신뢰도 95%, 신뢰구간 6~75%) 낮게 나타났다.

허혈성뇌경색 발생 위험은 60%(신뢰도 95%, 신뢰구간 37~74%) 낮았다.

"2차접종자, 코로나 감염 후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절반 이하"
이번 연구에는 건보공단 빅데이터전략본부 김영은 박사,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교실 정재훈 교수,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허경민 교수 등이 참여했으며,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회지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JAMA)'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위험도를 주요 변수인 성별, 연령, 기저질환, 과거 감염력, 위중증 여부 등에 따라 보정해 이런 분석을 내놨다.

조사 대상 확진자 중 미접종군이 2차접종군에 비해 젊고 기저질환(지병) 유병률이 낮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이 감염·중증화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국내외 연구 결과들은 있었지만, 감염 이후 합병증 발생 위험도 줄인다는 결과가 국가 단위 대규모 데이터 기반 연구로 확인됐다는 의미가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백경란 질병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간 학술기관과 협력해 진행 중인 코로나19 빅데이터 기반 연구로 예방접종 효과가 입증되고 필요성에 대한 신뢰할 만한 근거가 마련됐다"며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2차접종자, 코로나 감염 후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절반 이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