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비상장 벤처기업인 유니콘 기업은 기업가치가 달러 기준 얼마 이상인가?

(1) 1억달러
(2) 5억달러
(3) 10억달러
(4) 50억달러
(5) 100억달러

[해설] 유니콘은 원래 머리에 뿔이 하나 달린 신화 속 동물을 일컫는데 경제 분야에서는 기업가치가 10억달러를 넘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말한다. 이보다 가치가 높은 기업들이 등장했는데 유니콘보다 열 배 이상 가치가 높은 신생 벤처기업을 데카콘, 1000억달러의 가치를 지닌 벤처기업을 헥토콘이라고 부른다. [정답] (3)
[문제] 아래 신문기사 중 ( )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경제학 용어는 무엇인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맞서 각국 정부가 막대한 유동성을 풀어놓은 뒤에도 물가안정세는 10년 가까이 이어졌다. 미국이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을 동시에 달성하자 ‘실업률과 물가는 반비례한다’는 ( )이 고장났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1) 롱테일 곡선
(2) 필립스 곡선
(3) 케인스 곡선
(4) 로렌츠 곡선
(5) 쿠즈네츠 곡선

[해설] 제시문에 들어갈 내용은 필립스 곡선이다. 필립스 곡선은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가 찾아낸 것으로 실업률이 낮으면 명목임금상승률(물가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높으면 명목임금상승률이 낮다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낸 곡선이다. 즉, 재정·통화당국이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을 시행하면 실업률을 낮출 수 있지만 물가는 상승한다. 반대로 물가를 낮추기 위한 정책은 실업률을 높인다. 필립스 곡선은 우하향하는 모양을 가지는데,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는 의미다. 하지만 코로나19 이전 미국은 막대한 유동성을 풀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고용 수준의 실업률과 물가안정을 달성해 ‘필립스 곡선 논쟁’이 있었다. [정답] (2)
[문제] 아래 빈칸에 들어갈 ㉠∼㉢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이야기한 사람을 고르면?

( ㉠ )으로 인해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은 여러 가지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경제 주체들이 어떤 선택을 할 때 그로 인해 어떤 다른 것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선택에는 반드시 ( ㉡ )이 발생하며 합리적인 선택은 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합리적 선택을 위해서는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뜻하는 ( ㉢ )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1) 희철 : 어떤 것이 희귀하다면 ㉠이 있다고 할 수 있지.
(2) 수미 : ㉢에 근거해 선택하게 되면 ㉡이 커질 수도 있어.
(3) 홍집 : ㉡이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어.
(4) 희경 :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세 개 이상일 때의 ㉡은 포기한 것들의 가치를 평균한 값이라고 할 수 있어.
(5) 대영 : 영화가 재미없다고 생각해 다른 일을 위해 관람 중간에 영화관을 나왔다면 ㉡에 집착하지 않은 행동이라고 할 수 있어.

[해설] ㉠은 희소성, ㉡은 기회비용, ㉢은 매몰비용이다. 희귀성과 희소성은 다른 개념이며 희귀하다고 해서 반드시 희소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희소성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자원의 절대적인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구에 비해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때 나타난다. 선택을 합리적으로 하기 위해서 매몰비용에 집착하지 말아야 하며 매몰비용에 집착하면 기회비용이 커져 오히려 불이익이 될 수도 있다. 기회비용이 가장 적은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기회비용은 포기한 것들 중 가장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영화가 재미없어 관람 중간에 영화관을 나왔다면 매몰비용에 집착하지 않는 행동의 예다. [정답] (2)
[문제] 그림은 A국의 경제 뉴스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유니콘 기업
(1) ㉠의 상황에서는 물가상승률이 낮다.
(2) 정부는 ㉠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지출을 늘릴 것이다.
(3) ㉡의 일환으로 국공채를 매각할 수 있다.
(4) 기준금리 인하는 ㉡의 하나로 볼 수 있다.
(5) ㉡에 성공하면 실업률은 낮아지나 물가는 오를 우려가 있다.

[해설] 경기가 과열된 상황에서는 물가상승률이 높다. 경기 과열 시 정부는 정부지출을 축소하며, 중앙은행은 국공채 매각, 기준금리 인상, 재할인율 인상 등의 경기 안정화 정책을 시행한다. 정책이 성공하면 물가가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 [정답]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