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황금연휴인 노동절 연휴(5월 1~5일)를 맞는다. 중국 국내를 중심으로 그동안 억눌렸던 여행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노동절 연휴가 중국 내 코로나19 2차 확산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19일 21세기경제보도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봄철 최대 연휴인 노동절 연휴 계획을 발표한 지난 9일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 계열 사이트에서 여행 상품 검색량이 300% 이상 증가했다.

노동절 연휴는 다음달 1∼5일로 코로나19 사태 후 중국에서 처음 맞는 장기 연휴다. 그동안 코로나19로 침체기를 겪은 중국 여행 산업의 회복 가능성을 평가할 계기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노동절 기간에는 연인원 기준으로 중국인 1억9500명이 국내 여행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로 지난 1분기 중국 여행·운송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1분기 중국 항공사들은 398억2000만위안의 손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 항공사들은 노동절 연휴를 계기로 여행 수요 회복을 기대하면서 국내선 운항 횟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코로나19 유입 방지 목적으로 국제선 운항이 아직 엄격하게 제한된 상황에서 국내 항공 수요 회복은 중국 항공사들의 운영에 숨통을 틔워줄 전망이다.

SCMP에 따르면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도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중국 항공산업이 'L'자형 장기 침체보다는 'U'자형 회복을 할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CICC는 올해 중국 항공사의 국제 승객이 50%가량 급감하겠지만 국내 승객은 20% 줄어드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극단적인 수준의 봉쇄와 격리 조치를 통해 코로나19 확산세를 꺾는 데 성공했다.

다만 최근 '무증상 감염자'가 여전히 발생 중인 우한(武漢)의 봉쇄가 해제된 상황에서 러시아와 국경을 맞댄 헤이룽장성과 남부 광둥성에서 다시 '내부 감염'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일각에서는 5월 노동절 연휴의 여행 급증이 코로나19 2차 확산의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