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조사 때 빠져…교도소가 묘지 관리해 암매장 가능성 낮다고 판단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묘지, 왜 이제서야 발굴했을까
최근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공동묘지에서 신원미상 유골 40여구가 발굴됐다.

법무부와 5·18 단체 등은 앞서 2017년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유해 발굴사업'을 통해 광주 북구 문흥동 소재 광주교도소 부지를 발굴했으나 이 공동묘지는 당시 발굴 대상에서 빠졌다.

교도소 측에서 꾸준히 관리하고 외부에 노출된 장소인 만큼 이곳에 5·18 행방불명자를 암매장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본 것이다.

조진태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22일 "3공수여단 출신 퇴역군인 등 1980년 광주에 계엄군으로 투입됐던 인물들의 증언을 토대로 전임자들이 발굴 작업을 했다.

공동묘지는 1971년 동명동에서 이장한 시신도 있고 교도소 측에서 무연고 사형수나 수감자들을 매장한 기록도 있어 우선순위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 상임이사는 "당시 5·18 진상규명 관련 특별법이 통과돼 시행령이 마련되고 진상위도 곧 출범할 것으로 예상돼 암매장 의심지 추가 발굴 등은 조사위에서 공식적으로 하는 게 맞는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묘지, 왜 이제서야 발굴했을까
5·18 암매장 제보지 발굴은 2002년 이후 64건의 제보가 접수돼 2009년까지 3차에 걸쳐 9곳에서 이뤄졌다.

이후 2017년 11∼12월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과 남서쪽 감시탑, 육군 상무대 주둔지, 공수부대 병력이 광주 봉쇄 작전을 벌였던 너릿재터널 일대에서 발굴이 재개됐다.

1980년 5월 21일 오후 민간인 시신 6구가 교도소 공동묘지 부근에서 계엄군에 의해 임시매장됐다는 당시 광주지방검찰청 내부 보고 기록도 확보했었다.

광주교도소의 경우 3공수 지휘관이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약도까지 그리며 암매장지를 지목해 가능성이 크게 점쳐졌다.

하지만 광주교도소를 포함해 최근 2년간 발굴 작업에서는 5·18 행불자로 추정되는 유골은 나오지 않았다.

법무부는 공동묘지를 포함한 이 일대가 법 체험 테마파크인 '솔로몬로파크' 사업부지가 되면서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묘지 개장작업을 했다.

이 과정에서 법무부(광주교도소)가 전혀 관리하지 않았던 유골이 무더기로 나온 것이다.

법무부에서 파악하고 관리한 유골은 개인묘 50기·합장묘 2기 등에 안장된 111구인데, 합장묘 한 곳의 봉분에서 기록에 없는 유골이 흙에 뒤섞인 채로 발굴됐다.

공동묘지 터는 2년 전 발굴이 이뤄졌던 북쪽 담장에서 100여m 떨어진 곳에 있다.

5·18 때 가족에 의해 행방불명 신고된 사람은 441명으로, 이 중 84명이 심사를 거쳐 광주시로부터 행불자로 인정됐으나 시신을 찾지 못했다.

광주시는 총 130명의 가족 295명으로부터 유전자 감식용 혈액을 채취해 전남대 법의학교실에 보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