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 방식·장소, 운영 주체 등 사회적 합의 필요

세월호 참사 3주기를 앞두고 세월호가 육상으로 올라왔다.

이제는 미수습자 9명을 찾고 진상 규명이라는 세월호 인양의 본래 목적이 남았다.

이후에는 거대한 세월호 선체를 어떻게 보존할지가 과제로 떠올랐다.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인양 과정에서 해양수산부 등을 통해 언급된 선체 보존 시나리오는 ▲ 선체 그대로 보존 ▲ 선체 절단해 전시 ▲ 상징성이 있는 부분만 절단해 전시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정부는 선체 수색·조사 이후 선체조사위원회, 희생자·미수습자 가족, 관계 기관 등과 협의해 최종안을 결정할 방침이다.

세월호 선체 보존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보존 방식과 장소, 운영 주체·비용 등을 두고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문제다.

세월호와 같은 대형 선박이 침몰하고 인양까지 이뤄진 뒤 보존·전시한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사례를 찾기 어렵다.

1994년 스웨덴 발트해에서 침몰해 852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는 깊은 수심, 낮은 수온 탓에 인양이 포기됐다.

2006년 이집트 홍해에서 여객선 '알-살람 보카치오 98'은 수심이 깊어 인양이 포기됐고, 1953년 침몰한 영국의 '프린세스 빅토리아'도 수심, 빠른 유속 탓에 인양되지 못했다.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1941년 침몰한 미국 해군의 USS 애리조나호도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인양하지 않고 대신 사고 해역에 추모관이 건립됐다.

2012년 이탈리아 토스카나 해변에서 좌초해 32명의 사망자를 낸 크루즈선 코스타 콩코르디아호는 사고 2년 반 만에 이탈리아 제노바 항으로 예인되고 완전히 해체됐다.

2010년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한 천안함은 같은 해 함수와 함미가 인양돼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에 전시 중이다.

보존 장소로는 현재 세월호가 거치된 목포신항, 참사 현장인 전남 진도, 단원고 학생들이 살았던 경기 안산 등이 거론된다.

정부는 세월호 거치를 위해 7월 20일까지 목포신항 부두 약 3만㎡를 임대한 상태다.

목포신항은 국가 주요 보안 시설이며 서해안 물류 전초기지로 그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임대 기간이 종료되고 선체를 어떻게 처리할지 조속한 결정이 필요하다.

2018년 진도 팽목항에 들어설 예정인 국민해양안전관에는 안전체험시설, 교육관, 추모기념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세월호가 전시되면 활용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고 합동분향소가 있는 안산도 추모 의미를 감안하면 그 상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세월호 보존 장소가 결정되더라도 운영 주체와 비용을 두고 해당 지방자치단체, 주민과의 합의가 필요하다.

(목포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cbebo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