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노조가 17일 민주노총 탈퇴를 결정,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양대 노총이 아닌 제3의 세력이 노동계에서 힘을 모을지 관심이다.

KT노조의 이탈은 상대적으로 보수화하면서 실리를 찾는 노조가 늘어나는 노동계의 한 동향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민주노총을 탈퇴하거나 탈퇴 움직임을 보인 대규모 노조는 인천지하철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도시철도공사 노조 등이다.

이들은 모두 공공부문 노조로 정규직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이 양호하게 유지되면서 2000년대 후반부터 사회문제에 초점을 둔 민주노총의 정치투쟁 노선과 거리를 뒀던 곳.
KT노조도 마찬가지로 조합원들이 노동운동의 방향이 큰 틀에서 바뀌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고 노조는 조합원의 이익 보호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며 압도적인 지지로 탈퇴를 가결했다.

주목되는 사안은 상급단체의 지침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독립적으로 조합원의 실리를 추구하는 노조들이 장기적으로 서로 연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인천지하철, 대구도시철도, 광주도시철도, 대전도시철도 등 6개 지하철 노조는 정치투쟁을 떠나 교섭을 위주로 한 협의체를 따로 구성하려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로는 논의가 궤도노조에 국한돼 있지만 이런 노조들이 세력화하면서 정치투쟁의 필요성을 체감하지 않는 노조의 이탈을 유도해 자연스럽게 세가 규합되거나 양대 노총에 속하지 않은 미가맹 노조를 흡수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노동부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조합원의 수는 72만5천14명과 65만8천118명으로 전체의 83%이고 미가맹 조합원이 28만2천666명으로 17%이다.

두 총연맹의 조합원은 2007년에 비해 각각 2.1%, 3.6% 감소한 반면 미가맹 조합원은 6.6% 증가하는 등 매년 상승세를 보인다.

다만 미가맹 노조의 한 축인 민공노(6만5천명)는 민주노총에 합류할 예정이다.

민주노총을 최근 탈퇴한 노조를 포함해 실리를 표방하는 미가맹 노조들이 구심점을 갖고 `제3노총'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총연합단체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 일단은 이들 노조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노동계의 한 관계자는 "총연맹은 여러 업종을 포괄해야 하고 이념적 토대도 필요하다"며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 사안에 따라 `느슨한 연대'를 이룰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KT노조도 이날 탈퇴를 결정한 뒤 "특정 세력에 기대지 않고 자체의 힘과 의지로 개척해나갈 것"이라며 "필요한 부분에서는 민주노총이든 한국노총이든 제한하지 않고 연대해 나갈 길은 열려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ja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