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로 불려간 빗썸 >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 조사단이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3차 회의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을 상대로 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거래 내역 정보를 요구했다. 이재원 빗썸 대표(왼쪽 두 번째)가 의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 국회로 불려간 빗썸 >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 조사단이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3차 회의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을 상대로 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거래 내역 정보를 요구했다. 이재원 빗썸 대표(왼쪽 두 번째)가 의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오는 30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거액의 암호화폐를 보유·거래한 의혹을 받고 있는 김남국 무소속(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징계 절차에 착수한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이 코인 상장 관련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었는지를 밝혀내는 데 힘을 쏟으면서 민주당을 향해서는 김 의원 제명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자고 공세를 폈다.

○與 “여야가 제명 촉구 결의안 내야”

26일 국회에 따르면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30일 윤리특위를 열고 김 의원 징계 안건을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8일, 민주당은 17일 김 의원을 윤리특위에 제소했다. 여야는 징계 안건을 윤리특위 내 윤리심사자문위로 회부할 예정이다. 윤리특위는 자문위의 의견을 들은 뒤 징계 수위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이 몸담았던 민주당에 대한 공세도 이어갔다. 박대출 정책위원회 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김 의원은 ‘잠행쇼’를 하면서도 세비는 따박따박 받고 있다”며 “본인이 자진사퇴하지 않는다면 국회 윤리특위가 조속히 김 의원을 제명할 수 있도록 여야가 제명 촉구 결의안이라도 내야 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을 탈당한 뒤 11일째 잠행을 이어가고 있는 김 의원은 ‘김남국 방지법(국회법·공직자윤리법)’이 통과된 25일 본회의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김 의원이 제명당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 소속 의원 중에는 김 의원 제명에 반대하는 이들이 꽤 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을 제명하기 위해서는 윤리특위 전체회의에서 과반수 찬성이, 국회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당장 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김 의원의 심경을 전하며 “거짓말은 안 할 친구”라고 말했다.

현역 의원 제명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신민당 총재 시절인 1979년 정치 탄압에 의해 의원직을 박탈당한 것이 헌정사상 유일하다.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 집중 추궁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은 이날 국회에서 암호화폐거래소 빗썸과 업비트로부터 현안 보고를 받고 김 의원이 특정 코인의 상장 정보를 사전에 취득했는지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암호화폐업계에서는 김 의원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시세차익을 거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 의원은 작년 게임업체 넷마블이 발행한 마브렉스 코인이 빗썸 거래소에 상장된다는 공지가 나오기 2주 전부터 이 코인을 집중 매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 매입가는 약 9억원으로 추정된다.

조사단 간사인 윤창현 의원은 회의를 마친 뒤 빗썸의 상장 정보 사전 유출 가능성에 대해 “(빗썸 측은) 우선 가능성을 부인했지만, (유출 관련) 개인 일탈까지 배제하진 않는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거래소 관계자의 ‘개인 일탈’로 코인 상장 정보가 흘러나갔을 가능성도 있다는 취지다. 윤 의원은 이어 “(빗썸 측이) 관련 전수조사를 하지 않았다고 하는 만큼 이 부분에 대한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고, 앞으로도 조사단에서 상장 정보 유출 가능성을 계속 들여다보겠다”고 강조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