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불출마 이후 양자 대결 조사서 安이 잇달아 金 앞질러 金측 "羅불출마 반감 따른 일시적 현상" vs 安 "당원이 80만명…민심 반영 결과" 4명 추리는 컷오프도 구도 변수…주자들, 후보등록 첫날 '지지층 굳히기'
국민의힘 당권 레이스가 2일 후보 등록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당 대표 경선은 김기현·안철수 후보가 선두 자리를 놓고 오차범위 안팎에서 접전을 반복하며 안갯속 판세를 그리고 있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특히 나경원 전 의원의 불출마를 기점으로 김 후보의 '대세론'이 흔들리면서 안 의원 우세로 판세가 뒤집히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속속 나오는 상황이다.
다만, 이런 안 후보의 초반 스퍼트는 오히려 김 의원을 지지하는 당내 '전통적 지지층'을 결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판세를 예단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현 판도는 오는 10일 예비경선(컷오프) 결과로 변곡점을 맞을 수도 있다.
본경선 출마자를 4명으로 추리는 이번 컷오프는 책임당원 100% 여론조사로 진행된다.
◇ 컷오프 일주일 앞으로…초반에 '어대현' 기세 꺾은 '안풍' 컷오프 결과 발표까지 남은 일주일간 최대 관전 포인트는 김, 안 후보 사이 지지율 흐름이다.
올해 초만 해도 친윤(친윤석열)계가 강력한 응집력을 보이며 김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안정적으로 선두를 유지했다.
'어대현'(어차피 대표는 김기현)이란 말도 나왔다.
그러나 후보등록 직전에 지지율에 날개를 단 안 후보가 턱밑까지 김 후보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설 연휴 이후 지지층 대상 여론조사 결과들을 보면 양자 대결 시 안 후보가 '대역전'에 성공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나 전 의원 불출마, '김연경·남진 SNS 인증샷' 논란 등이 김 후보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25∼26일 리얼미터-미디어트리뷴의 국민의힘 지지층을 대상으로 한 조사(422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4.8%포인트)에서 김 의원의 지지율은 40.0%로 직전 조사보다 0.3%포인트(p) 감소했지만, 안 후보는 무려 16.7%p 증가한 33.9%를 기록했다.
나 전 의원 지지층의 상당 부분을 안 후보가 흡수한 것이라는 분석으로 이어졌다.
이후 안 후보가 김 후보를 오차범위 밖으로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랐다.
한국갤럽-세계일보(1월 26∼27일·지지층 410명, 표본오차 ±4.9%p), 리얼미터-미디어트리뷴(1월 31일∼2월 1일·지지층 428명, 표본오차 ±4.7%),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의 전국지표조사(1월 30일∼2월 1일·지지층 363명, 표본오차 ±3.1%p) 등 3건의 여론조사를 보면 안 후보는 다자·양자 대결 모두에서 김 후보를 앞질렀다.
이를 놓고 김 후보와 친윤계는 나 전 의원 불출마 등으로 인한 반감이 표출된 일시적 현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전 국민 대상 조사 특성상 당원 대비 수도권·청년층이 과표집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 후보도 마냥 마음을 놓는 분위기는 아니다.
예상 밖의 선전이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자극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입당한 안 후보는 친윤계의 전폭적 지지를 받는 김 의원에 비해 당내 기반이 취약하다는 평가다.
결국 이번 당권 경쟁은 막판까지 어느 한쪽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혼전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컷오프 구도 최대 변수…친윤 vs 비윤 합종연횡 가능성 컷오프를 누가 통과하느냐에 따라 본경선이 친윤과 비윤의 계파 대결, 또는 세력 대결로 흐르면서 후보 간 '합종연횡'이 본격화할 수 있다.
김, 안 후보는 본선행을 굳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관심사는 나머지 두 자리를 누가 가져가느냐다.
황교안 후보와 강신업 후보는 김 후보와 마찬가지로 강성 지지층에서 세를 구축하고 있고, 윤상현 후보와 조경태 후보는 각각 수도권·개혁 성향으로 묶이며 안 의원과 지지층이 겹치는 측면이 있다.
이준석 전 대표와 가까운 천하람 전 최고위원의 막판 출사표가 어떤 영향을 미칠 지도 주목된다.
이 전 대표가 당권을 잡은 이후 입당한 책임당원 규모는 10만명 안팎이라는 게 당내 대체적인 분석이다.
◇ 후보 등록 첫날 유세전…金 '텃밭 다지기', 安 '청년층 어필' 후보 등록 첫날 당권 주자들의 동선과 메시지는 이런 초반 판세에 대한 각자의 진단에 따른 전략이 녹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 안 후보는 이날 오전 일찌감치 여의도 당사를 찾아 후보 등록을 마친 후 지지층 굳히기에 나섰다.
김 후보는 국회 의원회관을 돌며 당 소속 보좌진에게 '눈도장'을 찍었다.
오후에는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리는 재경포항인 신년 인사회에 참석한다.
'홈그라운드'인 영남 쪽 표심을 겨냥해 승부수를 띄우는 셈이다.
안 후보는 청년 최고위원 후보들과 공동 출정식을 했다.
안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여론조사에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면서도 "당원 숫자가 80만 정도 된다.
민심을 반영하는 결과가 나오게 된다"고 자신했다.
당내 '옛 친박(친박근혜)계'로 분류되는 윤 후보와 황 후보는 대구의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로 향했다.
500억 이상 자산가 제외 수치…민주당은 평균 18억4천만원安, 700억원 줄고도 1천347억원…이어 전봉민·박덕흠·박정 순 국회의원 1인당 평균 재산이 가장 많은 정당은 국민의힘으로 나타났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 공개한 지난해 말 기준 국회의원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500억원 이상 자산가를 제외한 국민의힘 의원의 평균 재산은 35억9천764만1천원으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이 18억3천967만3천원으로 2위였다. 이어 시대전환(12억4천665만9천원), 정의당(8억790만3천원), 기본소득당(5억3천414만4천원) 순이었다. 무소속 의원 7명의 1인당 평균 재산은 42억5천314만9천원이었다. 500억원 이상의 자산가는 안철수(1천347억960만4천원)·전봉민(559억1천677만2천원)·박덕흠(526억1천714만4천원·이상 국민의힘), 박정(505억9천850만8천원·민주당) 의원 등 4명이다. 안 의원 등 '500억원 이상 클럽'을 집계에 포함할 경우 정당별 평균 재산은 국민의힘이 56억7천309만2천원, 민주당이 21억2천818만7천원으로 오른다. 이들을 제외한 고액 자산가를 보면 국민의힘에서는 윤상현(299억1천440만9천원)·백종헌(297억3천191만원)·한무경(209억189만5천원)·정우택(143억1천420만4천원)·강기윤(124억4천181만4천원) 의원 등이 100억원 이상을 소유했다. 민주당에서는 박정 의원에 이어 홍익표(82억8천203만원)·박병석(66억7천23만1천원) 의원 등의 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양정숙 의원의 재산은 101억1천935만3천원으로 전체 의원 중 10위였다. 정의당에서는 심상정 의원이 17억8천546만6천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이 지난 한 해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나 신고액이 70억3천531만3천원 증가했다.
강남3구 다주택자 '2채' 양정숙 유일…주택 외 상가 등 보유자 70명 21대 국회의원 가운데 집을 두 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작년과 같은 40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강남구·서초구·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에 주택을 한 채 이상 보유한 국회의원은 47명으로, 역시 작년과 같았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 공개한 2022년 말 기준 국회의원 재산 변동사항에 따르면 국회의원 296명 중 다주택자(본인·배우자 명의 기준)는 40명으로, 전체의 13.5%였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29명, 더불어민주당 8명, 정의당 1명, 무소속 2명 등이었다. 최다 주택 보유자는 총 4채를 보유한 민주당 김성환 의원이었다. 이헌승·이주환·장동혁·윤주경(이상 국민의힘), 이상민(민주당), 양정숙(무소속) 의원은 총 3채를 보유했다. 김성환 의원의 경우 전남 여수시 삼산면 단독주택 2채(일부 지분)와 전남 여수시의 아파트 1채(일부 지분)를 상속받았고, 서울 노원구 소재 아파트 분양권(배우자)을 신고했다. 김 의원의 단독주택 및 아파트 분양권은 약 5억3천만원이다. 이헌승 의원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1채 분양권과 부산 진구 아파트 2채를 보유했다. 이들 3채의 현재 가액은 21억원에 달했다. 이주환 의원은 약 31억원에 달하는 서울 마포구 아파트 1채와 부산 연제구 아파트 1채, 부산 진구 복합건물(주택+상가) 1채 등 3채를 신고했다. 장동혁 의원은 서울 구로구 아파트 1채, 충남 보령시 단독주택 1채, 충남 보령시 아파트 1채 등을 보유했다. 이들 3채는 약 6억7천만원이다. 윤주경 의원은 서울 동작구 아파트 1채, 강원도 평창군 단독주택 1채, 경기 성남시 분당구 복합건물(주택+상가) 1채 등 총 3채를 갖고 있었다. 다 합
내달 부산엑스포 실사단 방문 앞두고 정부·기업 홍보전 '총력'광화문광장 3개 구역으로 나눠 조형물·홍보부스 마련 2030 부산세계박람회(부산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광화에서 빛; 나이다' 점등식 행사가 3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다음 달 진행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의 부산 방문을 앞두고 한국 국민의 엑스포 유치 열망을 국내외에 알리고자 기획됐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행사에 참석해 "실사단 한국 방문을 앞두고 국민들의 적극적인 응원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점등식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안병윤 부산시 행정부시장 등도 참석했다. 정부, 부산시, 민간유치위원회 기업들은 이날부터 다음 달 3일까지 광화문광장에서 부산엑스포와 연관된 전시와 행사를 선보인다. 광화문광장은 박람회의 역사·의미·미래 3개 테마로 구역을 나눠 조형물과 각종 홍보 부스가 설치됐다. 박람회의 역사를 보여주는 '타임 투 엑스포'(Time to EXPO) 구역에서는 에펠탑, 자유의 여신상 등 역대 개최국의 랜드마크와 전화기, 축음기, 비행기 등 발명품을 불빛 조형물 형태로 제작해 전시한다. LED 플라워, 부기캐릭터, 스노우볼을 설치해 포토스팟(사진촬영장소)도 마련했다. '필 투 엑스포'(Feel to EXPO) 구역은 국내 기업들이 운영하는 홍보 체험 부스로 구성됐다.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EV9을 전시하고, SK는 친환경 클린에너지 체험관을 운영하며 삼성전자는 갤럭시 신제품 체험 스튜디오를 마련했다. 롯데는 마칭밴드 공연을, 신세계는 스타벅스 텀블러와 커피 나눔 행사를 한다. 박람회의 미래를 제시하는 '바이브 위드 엑스포'(Vibe with EXPO) 구역에서는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