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예산 17억 6천만원 들인 '바로일터·바로톡' 활용 미흡

행정자치부가 추진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전자정부 사업이 공무원들의 외면으로 성과를 내지 못해 사업방향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 국회예산정책처와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4월 말 기준으로 모바일 전자정부 공통기반인 '바로일터'를 설치한 단말기 수는 현장행정용 9천728대, 내부행정용 4천690대 등 1만 4천418대에 그쳤다.

현장행정용 단말기는 공무원 여러 명이 같이 쓴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전체 공무원 102만 2천여명 가운데 모바일 전자정부 공통기반을 사용하는 공무원은 3만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모바일 전자정부 공통기반이란 부처별 행정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플랫폼으로, 스마트폰으로 각종 행정업무를 수행할 때 필요한 기반이다.

이처럼 바로일터의 활용이 미흡한 것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만 쓸 수 있는데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신규 스마트폰에는 보안성 검증을 거쳐 내년에야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산정책처는 바로일터 초기 구축 비용이 31억원이었고, 매년 안정화와 보안강화를 위해 10억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되지만 공무원 활용성이 미흡해 사업 성과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행자부가 보안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2014년 개발한 공무원 전용 모바일메신저 '바로톡'은 현재 세금만 축내는 상황이다.

바로톡은 지난해 7월부터 중앙부처에서, 10월부터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편됐으나 올해 3월 기준으로 스마트폰에 내려받은 공무원은 2만 133명에 그친다.

아울러 전체 공무원의 2% 수준인 바로톡을 설치한 공무원 중에서도 상당수는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서 이동 등 이용방법이 불편하고 가입자가 적어 '카카오톡' 등 민간 앱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산정책처는 "공무원 활용성이 미흡하고 보안성 강화에도 근본적 한계가 있는 바로톡 사업은 앞으로 전체적인 사업추진방향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행자부가 출연기관인 정보화진흥원을 통해 지난해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 사업에 집행한 예산은 모두 17억 6천600만원에 이른다.

사업별로는 ▲ 모바일 공통기반 기술지원 및 테스트센터 운영 4억 8천800만원 ▲ 모바일 공통기반 네트워크 안정화 및 보안강화 6억 7천400만원 ▲ 바로톡 운영 및 확산 3억 800만원 ▲ 차세대 발전전략 수립 6천800만원 ▲ 모바일 전자정부 사업관리 2억 2천800만원 등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