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대통령의 러시아방문은 우선 주변4강에 대한 정상외교를 마무리한다
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듯 하다.

지난해 11월의 미국, 올해 3월의 일본과 중국에 이은 이번 방문으로
김대통령은 동북아 평화구조정착을 위한 정상대좌를 매듭짓게 되며 특히
북한핵문제에 따른 공감대구축에도 한 획을 긋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와 러시아는 현재 북한핵, 경협차관문제를 비롯해 벌목공처리, KAL기
사고 처리, 공관부지문제등 적지않은 "현안"이 가로놓여 있는 것이 사실
이다.

북한핵문제에 관한 러시아의 입장은 상당히 우리에 대해 우호적인만큼
김대통령과 보리스 옐친대통령과의 모스크바회담에서는 평화적 해결을
바라는 양국의 의지가 평양을 향해 전달될 전망이다. 러시아는 최근 북한핵
문제와 관련, "8자회담"을 제의하는등 국제사회에서의 발언권강화를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만큼 이번 회담에서도 어떤 가시적인 대북입장표명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고 정부의 한 고위당국자는 전했다.

한.러간에 가장 현실적이고 민감한 것이 경협차관문제다. 러시아측은 이미
집행된 14억7천만달러에 대한 채무상환유예와 함께 6공이 약속했던 나머지
15억3천만달러의 집행도 요구할 것으로 관측되나 정부는 대러차관에 대한
부정적인 국민감정을 전달, 우선 현금상환이 어렵다면 어느 수준까지 현물
상환을 요구한다는 입장으로 전해지고 있다.

벌목공과 KAL기사고처리문제도 심도있는 논의를 거치게 되겠지만 어떤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정부관계자의 설명이다. 벌목공
문제는 러시아와 북한관계라는 어려움이 있고 KAL기문제도 배상범위및
조건에 관해 러시아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을 것이 확실시되기 때문
이다.

그러나 공관부지문제와 관련해서는 양국이 서울과 모스크바에서 서로 같은
조건으로 토지와 시설을 제공하는 선에서 매듭지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김대통령의 러시아방문기간중 환경협력협정과 해운협정, 철새보호
협정등을 체결, 양국관계의 다원화를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이같이
양국의 협력분야를 확대하는 것은 러시아가 현재 정정불안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그들이 보유한 무한한 잠재력을 평가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러시아방문에 이은 김대통령의 우즈베키스탄방문은 20만명에 이르는 한인
동포를 직접 격려한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지는 대목이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의 풍부한 부존자원과 우리의 개발경험을 접목할 경우 상당한
경제적 협력기반의 확충도 가능한 것으로 당국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양승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