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BIZ School] 고객가치 중심으로 생각을 디자인하라
Let"s Master (1) 디자인 싱킹
공감 → 문제정의 → 아이디어 도출 → 시제작 → 사용자 테스트
'디자인 싱킹'은 다양한 문제해결 위한 창의적 과정
고객 니즈 파악·혁신 통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해야
이경원 < 한국산업기술대 교수 >
공감 → 문제정의 → 아이디어 도출 → 시제작 → 사용자 테스트
'디자인 싱킹'은 다양한 문제해결 위한 창의적 과정
고객 니즈 파악·혁신 통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해야
이경원 < 한국산업기술대 교수 >

미국 디자인 이노베이션 기업 아이데오(IDEO)의 최고경영자(CEO) 팀 브라운은 2008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디자인 싱킹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디자인 싱킹은 사람들의 요구를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에 부합하게 하고, 고객의 가치와 시장 기회로 전환될 수 있는 비즈니스 전략에 맞추는 데 디자이너의 감각과 작업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한경 BIZ School] 고객가치 중심으로 생각을 디자인하라](https://img.hankyung.com/photo/201702/AA.13306240.1.jpg)
디자이너의 감각과 작업 방식이란 무엇일까. 디자인 싱킹의 메카라 할 스탠퍼드대 d스쿨은 디자인 싱킹 과정을 다음과 같이 5단계로 정리하고 있다. 이 5단계 과정을 반복해 생각을 다듬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디자인 싱킹이다.
1단계-공감하기, 2단계-문제 정의, 3단계-아이디어 도출, 4단계-(빠르고 값싼) 시제품 제작, 5단계-(사용자) 테스트
에어비앤비 사례를 통해 디자인 싱킹 과정을 살펴보자.
200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세 청년이 창업한 에어비앤비는 10년도 되지 않아 기업가치가 300억달러에 이르는 세계적인 숙박서비스 업체로 성장했다. 호텔과 같은 숙박시설을 하나도 소유하고 있지 않지만 글로벌 호텔업체 힐튼이나 메리어트보다 기업 가치가 더 높다. 에어비앤비는 인터넷을 통해 여행자들이 호텔보다 저렴하게 숙소를 얻을 수 있게 하고, 190여개 나라의 집(방) 주인들은 남는 방이나 집을 여행자에게 빌려줘 수익을 올리도록 한다. 공유 경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업 모델이다. 에어비앤비도 초기에는 한 주 매출이 200달러에 머물러 파산이 우려되던 때가 있었다. 에어비앤비가 어떻게 그 어려움을 극복했는지를 들여다보면 디자인 싱킹의 과정을 볼 수 있다.
![[한경 BIZ School] 고객가치 중심으로 생각을 디자인하라](https://img.hankyung.com/photo/201702/AA.13300959.1.jpg)
에어비앤비가 초기에 겪은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했다면 주목을 끌지 못하고 소리없이 사라지고 마는 여러 신생 기업 중 하나가 됐을 것이다. 에어비앤비는 문제를 사용자와 고객 관점에서 이해하고 풀어감으로써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이면 누구라도 한 번쯤 떠올려보는 세계적인 숙박서비스 업체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경원 < 한국산업기술대 교수 >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