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한반도로 떨어지는 소행성이나 고장난 인공위성이 입힐 피해에 대비한 재난대응훈련을 처음 시행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6일 12개 관계부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23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우주개발 시행계획과 우주위험 대비 시행계획 등을 확정했다.

정부는 소행성과 운석, 위성 추락에 대비해 각 부처와 관계기관별로 올해 5월까지 우주위험 대응 매뉴얼을 제작하고 5월부터 민·관·군 합동훈련을 하기로 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1957년 이후 인공위성 3000개가 땅에 추락했고 매일 100t 이상의 운석 등이 지구에 떨어지고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머지않아 영화 ‘딥 임팩트’와 ‘아마겟돈’에서 소재로 다룬 것처럼 소행성 충돌이 인류 생존을 위협할 것으로 판단하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중심으로 대책기구를 공식 설립했다.

정부는 지난해 우주위험 대책본부를 신설하고 현재 전 세계에 0.5m급 전자망원경 5개를 확보해 1t급 우주물체 추락을 독자감시하는 조기경보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올해 우주기술 개발에 지난해보다 19.5% 늘어난 7464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2018년 발사를 목표로 달 탐사선 본체 개발, 탐사선과 교신할 심우주지상국 구축, 한국형 발사체(KSLV-2)의 75t 액체엔진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도 진행한다.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5호보다 식별 능력이 네 배 뛰어난 영상레이더(SAR) 위성인 아리랑 6호와 지상에 있는 가로, 세로 0.4m 크기의 물체를 식별하는 아리랑 7호 등 위성 6기 개발을 추진한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