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자기자본보다 우발채무(숨은 빚)가 많은 5개 증권사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한국경제신문이 보도했다.경기가 급격히 꺾여 우발채무가 동시다발적으로 현실화되면 이들 증권사가 유동성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메리츠종금과 교보, HMC, 하이투자, IBK 등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중이 100%를 넘는 증권사들에 우발채무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관리하라고 권고했다.우발채무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금융당국 차원에서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뜻도 전달했다.우발채무는 현재는 채무가 아니지만 돌발사태가 발생하면 채무로 확정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채무를 말한다.급할 때 빌려주겠다고 약속한 대출 약정 등이 대표적이다.금융위원회도 증권사의 우발채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건전성 규제도입을 준비 중이다.레버리지 비율(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비율)을 계산할 때 우발채무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충당금을 쌓도록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레버리지 비율이 1,100% 이상인 증권사는 경영개선 권고, 1,300%를 넘으면 경영개선 요구를 받는다.금감원에 따르면 메리츠종금증권(276.5%)과 교보증권(200.4%)은 우발채무가 자기자본의 두 배에 달한다.HMC투자증권(159.6%), 하이투자증권(155.9%), IBK투자증권(103.5%)도 자기자본보다 많은 잠재적 채무를 안고 있다.이들 5개 증권사의 우발채무 총액은 8조8천억원에 달한다.금융당국이 증권사 우발채무 관리를 강화하고 나선 것은 경기가 급속도로 나빠지면 해당 증권사들이 유동성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국내 증권사들은 2013년 이후 아파트 개발사업 시행사가 자금난에 빠지면 대출을 해주겠다고 약속(약정)하는 방식으로 우발채무를 늘려왔다.증권사들은 통상 미분양 아파트 가치(평가액)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출해주는 약정을 건설사 등과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이 과정에서 대출 약정금액의 2% 이상을 수수료 명목으로 챙긴 것으로 전해졌다.은행들이 건설사 등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기피하자 증권사들이 틈새를 파고든 것이다.증권사들의 이런 우발채무 잔액은 2012년 3월 말 2조8천억원에서 지난해 9월 말 16조7천억원(매입보장약정 제외)으로 불어났다.부동산 경기가 꺾여 미분양이 급증하면 건설사들로부터 동시다발적인 대출요구가 쇄도할 수 있다.증권사들이 확보한 담보물의 가치가 높더라도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사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이에 대해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만기를 3~4년으로 분산시키는 등 리스크 관리를 면밀히 하고 있어 위험이 일시에 현실화될 우려는 없다"고 말했다.[온라인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레이디스코드, 세상 어디에도 없는 특별한 컴백.."반가워요"ㆍ황정음 ‘퍼펙트 결혼식’ 꿈꾼다...“세상 어디에도 없는 결혼식”ㆍ이진, 감탄사 나오는 미모.."결혼은 6살 연상이랑"ㆍ서유리, 강타팬 고백 "취한 기분 느끼고 싶을 땐…"ㆍ육룡 정유미 신세경 "이런 미모 대결 처음이야"ⓒ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