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지난 57년 최초 인공위성인 소련의 스푸트니크호가 발사에 성공한 후 과학기술 교육 투자를 확대, 과학기술강국으로 발돋움했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 다시 과학기술 교육 개혁에 나섰다. 지난 85년에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발표한 '프로젝트 2061'이 그 대표적 사례다. 이 프로젝트는 85년 출생한 아동들이 76년 뒤인 2061년까지 미국 사회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수 있도록 교육을 개혁하기 위해 마련됐다. 2000년에는 달 착륙 30주년을 기념해 '21세기 과학.수학교육위원회'를 설립, 21세기에 대비한 과학교육 개혁을 강화했다. 최근에는 2002 회계연도에 연방정부가 초.중등학교 교육에 2백65억달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2001년도에 비해 80억달러가 늘어난 것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학생들의 수학 및 과학교육을 대폭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뿐만 아니다. 2004학년도부터 모든 3∼8년 학생들이 수학시험을 치르도록 의무화했다. 2005년부터는 과학시험도 추가하도록 했다. ◆ 영국 =지방자치제로 학교와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해 왔다. 그러나 학생들이 과학을 암기 위주로 학습하는 등 문제점이 드러남에 따라 1988년부터 국가적인 교육체제 정비에 나섰다. 정부는 교육개혁법을 통과시키고,5∼16세 학생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을 도입했다. 이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실험 실습을 통해 직접 과학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같은 개혁으로 과학교육에서 탐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70%로 높아지게 됐다. 전체 의무교육 기간중 과학과 수학이 영어와 함께 핵심 과목으로 됐다. 과학교사협의회(ASE) 등의 활동으로 과학교사의 자질도 크게 높아졌다. ◆ 독일 =학교 밖의 과학교육에 대해 집중 지원하고 있다. 청소년탐구대회의 경우 독일 청소년들의 과학기술 분야 능력을 개발할 목적으로 지난 66년부터 첫 실시된 이래 현재까지도 정부를 비롯 수많은 기업들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다. 학생들의 탐구심을 끌어내 주는 과학교육에도 온힘을 쏟고 있다. 국가에서 교육을 통제하지 않고 학교 또는 과학교사들이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