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만한 게 애널리스트들인가요" 금융감독원이 26일 애널리스트의 이해 상충을 막겠다며 대책을 내놓았다. 담당업종 주식매매 금지,추천종목 이해관계 공시,부실기업 보고서 작성 제한 등이 골자다. 대책을 전해 들은 애널리스트들은 한결같이 볼멘소리를 내뿜었다. 자신들을 마치 증시에 '색깔'을 입히는 세력인양 매도했다는 주장도 서슴지 않았다. 한 애널리스트는 "앞뒤가 맞지 않는 대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애널리스트는 연봉계약자다. 연봉이 많고 적음을 가르는 잣대는 보고서에 대한 평가다. 문제는 증권사가 영업을 위해 기관이나 외국인에게 보고서를 먼저 준다는 점이다. 정보의 양은 물론 시점에서도 비대칭성 문제가 생겨난다. "공정게임을 저해하는 요인은 애널리스트의 도덕성이라기보다 정보의 비대칭성"이라고 지적하는 애널리스트들은 모든 투자자가 보고서를 동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선결과제라고 주장한다. 그런데도 금감원은 한술 더 떴다. 증권사의 애널리스트 평가를 명문화한 것이다. 이러면 애널리스트로선 소속 증권사는 물론이고 기관과 외국인으로부터 더욱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애널리스트의 보고서는 투자자료라는 점에서 이번 대책은 더욱 걱정스럽다. 금감원은 관리종목이나 감사의견 부적정,또는 거절인 기업은 아예 보고서를 못내게 했다.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이 있다'는 증시격언은 기업에도 적용된다. 구조조정에 적극 나선 기업은 실적이 좋을 리 없다. 부실을 떨어 내면서 생기는 손실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면 사정은 달라진다. 구조조정 마무리로 실적이 급속 호전되는 기업이 적지 않다. 그런데도 '전과(前科)'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보고서를 못내게 강제한다는 것은 여간 난센스가 아니다. 금감원은 올해를 '증시 불공정거래 척결 원년'이라고 선포하고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다. 긍정적인 평가도 나오고 있다. 그렇지만 현장을 도외시한 대책을 내놓는다면 '불공정거래 척결 원년'은 구호에 그칠 수도 있다. 박기호 증권부 기자 kh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