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설비투자가 올스톱된 양상이다. 시설투자가 얼마나 부진한지는
공작기계수주실적을 보면 알수있다.

공작기계협회는 11일 지난해 공작기계생산은 4천5백억원,출하는
재고분소진을 포함해 4천5백23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3%,21% 줄었다고
밝혔다.

또 대우중공업 세일중공업 화천기계 기아정공 현대정공등 5대
공작기계메이커의 지난1월 수주및 판매는 업체당 20억원미만이다.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활발할때 5대업체는 월평균 50억~60억원어치를 수주
판매했다. 이에비하면 5대업체의 1월실적은 경기가 좋을때의 3분의1
수준이다.

5개사 영업팀은 매달초 전월판매실적을 교환하지만 이달에는 모임을 갖지
않았다. 5대업체 모두 실적이 20억원을 넘지 못했다는 전화통지만 했다고
한다.

현대정공 공작기계영업부 김정록부장은"공작기계업체의 업체당
20억원미만의 판매는 공작기계 수요업체가 고장이 난 설비대체등 더이상
미룰수 없는 투자만 하고있을뿐 신규투자는 사실상 중단하고 있다는것을
반증하는것"이라며 "1월중 주문실적을 놓고보면 기업들의 설비투자는 오는
3,4월께도 본격적으로 회복될 전망이 없다는 얘기가 된다"며 한숨이다.

공작기계 영업담당자들은 이달들어서도 수요업체들의 구매문의는 1월보다
전혀 나아지는 기미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영업담당자들은 대기업들의 공작기계구입도 올 하반기부터나 일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대기업의 설비투자가 시작된지 3~4개월후에야 투자에
나선다는 점을 감안할때 이들의 설비투자는 연말가까이 가서야
본격화된다는 얘기가 된다.

<>.현대 삼성 럭키금성 대우 선경 쌍룡 한진등 주요그룹들은 올해
설비투자계획을 표면상 지난해보다 늘려 잡았다.

현대그룹은 올해 설비투자를 지난해보다 15.3%늘어난 1조5천억원으로
책정했으며 삼성그룹은 지난해보다 8%증가한 2조7천억원을 설비개체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한진그룹은 51.7%늘어난 1조7천9백억원,대우그룹은 80.3% 높인
1조1천억원,쌍용그룹은 1백9.3% 증가한 9천억원을 설비투자에 쏟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그룹이 현재까지 대규모설비투자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얘기는 별로 없다.

재계관계자는 새정부의 대기업정책이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아
신규투자를 일단 새정부출범이후로 미룬 것이 최근 설비투자 부진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새정부의 정책에 따라 설비투자를 결정하겠다는 관망자세라는 것.

<>.국내시장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상황에서 과감히 설비투자를 할 분야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어차피 국내시장은 한계에 다달아 기업들은 올해부터 수출에 주력하겠다는
전략을 세웠지만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에다 블록화추세가
맞물려 수출전략도 벽에 부딪치고 있다.

금성산전 김형철이사는 "올해 경기가 지난해보다 나아지리라고 전망하는
회사는 없는 것 같다. 업종에 따라 다를수도 있지만 시장수요가 정체된
상황에서 설비투자에 선뜻 나설 회사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중소기업들은 설비투자에 더욱 엄두를 못내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지난해말부터 정부가 풀기시작한 1조원규모의
외화표시원화대출에 꽤 기대를 걸었다. 장기저리성 자금이어서이다.

그러나 막상 이 자금을 이용하려는 중소업체들은 은행의 담보요구에
질리고 만다.

지난해 진공도금장치를 개발,이를 기계공업진흥회에 국산화기계로 등록한
대한진공엔지니어링의 주현석사장은 평소 거래관계가 있던 업체대표들에게
외화표시 원화대출을 이용,진공도금장치를 팔려다가 낭패를 당했다.

주사장으로부터 외화표시원화대출이용방법을 소개받은 업체대표들은
은행을 찾았으나 은행에서 후취담보로 잡게될 기계외에 또다른
부동산담보를 요구하자 대출받는것을 포기하고 주사장에게 항의만
하더라는것.

인쇄회로기판업체인 K사도 외화표시원화대출을 받기위해 해당은행을
찾았으나 담보요구로 신규투자를 주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의 담보요구로 외화표시원화대출을 받기 어려운데다 최근 들어서는
미달러화에 대한 원화가치가 빠른 속도로 떨어져 이자금의 메리트도
적어졌다.

한편 기계공업진흥회는 외화표시원화대출로 수입업체를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원기관을 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에 국한하지 말고
모든 금융기관으로 확대해 줄것과<>신규개발기계 등록기간을 91년1월기준
판매개시 2년미만에서 3~5년으로 조정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할 움직임이다.

<김호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