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80년 뒤엔 1300만명 '小한민국' 된다는데
2100년의 한국은 그야말로 ‘대재앙’이다. 출산율이 낮아지면서 한때 5000만 명을 웃돌던 총인구는 1300만 명 수준으로 쪼그라들었고,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경제활동인구도 덩달아 줄었다. 노동력이 감소하면서 산업 경쟁력은 저하됐고, 국내 경기는 악화했다. 소득이 감소한 가구들은 아이를 낳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출산율은 더 추락하는 ‘악순환’에 빠졌다.

어느 소설에 나오는 상상 속 얘기가 아니다. 소프트웨어 기업 코나아이의 연구팀이 통계 예측 프로그램을 통해 전망한 약 80년 뒤의 한국이다. 이들은 미래예측·의사결정 분석방법론으로 활용되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분석방법론을 활용해 자체 인구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에 따르면 한국의 총인구는 2020년 5100만 명에서 2060년 3500만 명, 2100년 1300만 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인구 감소는 현재진행형이다. 지난해 통계청은 한국의 총인구가 2020년(5182만9000명)보다 9만1000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총인구가 감소한 것은 통계를 집계한 이후 72년 만에 처음이다. 인구 감소는 그 자체로도 국가의 지속성을 위협하지만, 국가의 재정 부담 증가, 교육시스템·생산인력·내수시장 붕괴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코나아이 연구팀이 <대한민국의 붕괴>를 통해 “대한민국이 실제로 붕괴하고 있다”는 섬뜩한 분석을 내린 배경이다. 이렇게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데도 실효성 있는 인구 증가 정책은 아직 없다.

이런 비극적 미래가 오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책은 ‘여성이 일과 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제도와 의식을 변화해 나가야 한다’ 등 선언적이고 뻔한 해결책만 제시하기보다 구체적인 목표를 제공한다. 코나아이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한국의 인구를 복원하려면 2021년 현재 49%인 합계결혼율을 78%까지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한다. 합계결혼율은 연구팀이 새로 정의한 용어로, 100명 중 몇 명이 결혼하는지 보여주는 수치다. 0.81명 수준인 합계출산율도 1.2명으로 높여야 한다. 여기에 향후 5년간 국제결혼을 현재의 3배 수준으로 늘리고, 유학생을 연 10% 더 받으면 한국의 인구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