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amily Site
  • 한국경제TV
  • 한국경제매거진
  • BOOK
  • 한경arteTV
  • 텐아시아
  • KED Global
구독신청
회원가입
로그인

계정관리 로그아웃
My News My Stock
구독내역
한경 BIO Insight 구독신청
한경 ESG 구독신청
한국경제
  • 한경TV LIVE
  • 신문보기
  • WSJ보기
  • 외국어뉴스
  • 통합검색
    전체메뉴
    네이버뉴스 구독 한경글로벌마켓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뉴스
    • 실시간 속보창
    뉴스
    • 전체뉴스회원전용
    • 경제
    • 증권
    • 부동산
    • 금융
    • 산업
    • 정치
    • 사회
    • 국제
    • IT·과학
    • 라이프
    • 문화
    • 골프
    • 스포츠
    • 연예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기고
    • 일반
    한경코리아마켓
    • 코리아마켓PRO회원전용
    • 뉴스
    • 시장지표
    • 한경지수 KEDI
    • 마켓MAP
    • 한경 종목+
    • 코리아마켓TV
    • 컨센서스회원전용
    • 컨센서스beta
    • 한경 스타워즈
    • 한경 머니
    • The Moneyist
    • 암호화폐
    • 한경 유레카
    한경글로벌마켓
    • 글로벌마켓PRO회원전용
    • 뉴스
    • 로보뉴스회원전용
    • 글로벌마켓TV
    • 마켓MAP
    • 미국종목시세
    • 투자의견
    • 예상실적
    집코노미
    • 집코노미PRO회원전용
    • 뉴스
    • 집코노미TV
    • 분양일정
    • 매물마당
    • 매물정보
    • 칼럼
    • 부동산밸류업센터beta
    • 매물관리센터
    프리미엄 콘텐츠
    • 회원전용회원전용
    • 한경 CHO Insight
    • 한경 Geeks
    • 한경YouTube
    • 뉴스레터
    • The Moneyist
    • The Lifeist
    • 기자 코너
    • 보도자료
    • 마켓인사이트Premium
    • 한경 BIO InsightPremium
    • 한경ESGPremium
    • 신문보기Premium
    • WSJ보기Premium
    • KED GlobalPremium
    • 한경멤버스Premium
    데이터센터
    • 한경지수 KEDI
    • 해외지수
    • 외환
    • 원자재
    • 국내경제지표
    • 채권·금리
    • 경제 캘린더
    • 전종목 시세
    스페셜 리포트
    한경 서비스
    • 랭킹뉴스
    • 인사·부고
    • 뉴스래빗
    • 한경용어사전
    • 행사
    • POLL
    한경 미디어그룹
    • 한국경제TV
    • 한국경제매거진
    • BOOK
    • 한경아카데미
    • 텐아시아
    • 생글생글
    • 주니어 생글생글
    • TESAT
    • 금융NCS
    • 29초영화제
    • 교육센터
    • 블루밍비트
    미디어 네트워크
    • 오토타임즈
    • 키즈맘
    • 한경기업경영지원본부
    • PR Newswire
    • 뉴스
      • 전체뉴스회원전용
      • 경제
      • 증권
      • 부동산
      • 금융
      • 산업
      • 정치
      • 사회
      • 국제
      • IT·과학
      • 라이프
      • 문화
      • 골프
      • 스포츠
      • 연예
    •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기고
      • 일반
    • 한경코리아마켓
      • 마켓MAP
      • 코리아마켓PRO회원전용
      • 뉴스
      • 시장지표
      • 한경지수 KEDI
      • 한경 종목+
      • 코리아마켓TV
      • 컨센서스회원전용
      • 컨센서스beta
      • 한경 스타워즈
      • 머니
      • 암호화폐
      • 한경 유레카
    • 한경글로벌마켓
      • 글로벌마켓 전체뉴스
      •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회원전용
      • 시황 트렌드
      • 종목 포커스
      • 글로벌 종목탐구회원전용
      • 대가들의 포트폴리오
      • 글로벌 ETF 트렌드
      • 글로벌 매크로
      • 글로벌 이슈
      • Fed 워치
      • 오늘의 유가회원전용
      • 원자재 포커스회원전용
      • 외환
      • 채권
      • 글로벌마켓PRO회원전용
      • 로보뉴스회원전용
      • 글로벌마켓TV
      • 마켓MAP
      • 미국종목시세
      • 투자의견
      • 예상실적
    • 집코노미
      • 집코노미PRO회원전용
      • 뉴스
      • 집코노미TV
      • 분양일정
      • 매물마당
      • 매물정보
      • 칼럼
      • 부동산밸류업센터beta
      • 매물관리센터
    • 프리미엄 콘텐츠
      • 회원전용회원전용
      • 한경 CHO Insight
      • 한경 Geeks
      • 한경YouTube
      • 뉴스레터
      • The Moneyist
      • The Lifeist
      • 기자 코너
      • 보도자료
      • 마켓인사이트 Premium
      • 한경 BIO Insight Premium
      • 한경ESG Premium
      • 신문보기 Premium
      • WSJ보기 Premium
      • KED Global Premium
      • 한경멤버스 Premium
    • 데이터센터
      • 한경지수 KEDI
      • 해외지수
      • 외환
      • 원자재
      • 국내경제지표
      • 채권·금리
      • 경제 캘린더
      • 전종목 시세
    • 스페셜 리포트
    IT·과학 한경 BIO Insight

    [글로벌 시장 분석] HLB, 간암 1차 치료법 FDA 허가 신청

    한민수 기자
    입력2023.06.02 09:08 수정2023.06.02 09:16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0
      댓글
    • 클린뷰
      클린뷰
    •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관련 뉴스
    1. 1

      셀트리온 유럽 심포지엄 “램시마SC, 의료진의 높은 신뢰도 확인”

      셀트리온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제품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와 램시마SC에 대한 유럽 의료진의 높은 선호도를 확인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영국 류머티즘 전문의는 “램시마SC를 환자에게 적극 추천할 정도로 신뢰하는 제품”이라고 호평했다. 셀트리온은 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23 유럽류머티즘학회(EULAR)’에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인플릭시맙 정맥주사(IV)에서 피하주사(SC)로-류머티즘 질환의 주요 치료제’라는 주제로 램시마와 램시마SC를 조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램시마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존슨앤드존슨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다. 램시마는 IV 제형이고, 램시마SC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인플릭시맙 SC 제형 제품이다.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램시마SC의 경쟁력에 주목했다. 램시마SC가 투여 편의성 개선으로 의료진과 환자 모두 효율성을 높인 점을 가장 긍정적으로 봤다. 이날 연사로 초청된 영국 왕립병원의 라즈 센굽타(Raj Sengupta) 교수는 “기존 IV는 3개월마다 한 번씩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내원이 필요했지만, SC로 바꾸고 나선 환자가 괜찮다면 1년에 한 번 정도 방문해 경과를 확인한다”며 “약의 효능이 괜찮으면 굳이 병원에 가야 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 환자들이 많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센굽타 교수는 영국 왕립 병원에서 연간 1500명의 환자를 진료하는 류머티즘 전문의이다.또 램시마SC가 류머티즘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환자 임상에서 IV 제형 대비 우월성을 입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SC를 추천한 결과 이제는 IV 환자 비율이 높지 않을 정도”라며 “첫 방문하는 경우도 바로 SC를 권유하고 있다”고 했다.센굽타 교수는 셀트리온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영국에서 바이오시밀러 사용은 매우 익숙하고, 셀트리온의 제품이 좋기 때문에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며 “윤리적인 측면도 강하고 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마인드가 인상이 깊어 믿음이 가는 회사”라고 전했다. 램시마와 램시마SC는 유럽에서 지난해 4분기 기준 합산 60.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램시마는 2017년 오리지널약의 점유율을 넘어선 이후, 6년 연속 유럽 인플릭시맙 처방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밀라노=김유림 기자 youforest@hankyung.com

      셀트리온 유럽 심포지엄 “램시마SC, 의료진의 높은 신뢰도 확인”
    2. 2

      HLB사이언스, 노드큐어와 마이크로바이옴 공동연구 협약

      HLB사이언스는 노드큐어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공동 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노드큐어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대사 및 면역 질환 치료제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박종환 전남대 수의과대 교수가 설립했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의약품 소재를 바탕으로 항암, 감염병, 대사 및 면역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협약에 따라 HLB사이언스는 노드큐어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의 확장성을 검토할 방침이다. HLB사이언스는 현재 패혈증 및 슈퍼박테리아 치료용 항생제 ‘DD-S052P’를 개발하고 있다. 프랑스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지난달 17일에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3년 1차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3년 간 27억5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윤종선 HLB사이언스 대표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부작용이 적고,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며 “탁월한 기술력과 연구 역량을 보유한 노드큐어와 협력해 기업가치를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

      HLB사이언스, 노드큐어와 마이크로바이옴 공동연구 협약
    3. 3

      불안한 '수출' 한국 …'15개월째 내리막'에 정책 훈풍?

      정부는 반도체에 쏠려있는 우리 수출을 다변화하기 위해, 바이오 산업을 주목하고 적극 육성하기로 했습니다.바이오 분야 대표 클러스터로 불리는 보스턴 클러스터를 벤치마킹한 '한국형 보스턴 클러스터'를 우리나라에도 만들기로 했습니다.이어서 수출 위기의 구체적인 상황과 정부 전략을 이민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15개월째 적자인 무역수지.8개월 연속 줄어든 수출 탓입니다.변화가 필요한 때 정부는 새로운 수출 전략을 주목하고 있습니다.일단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조성 전략을 내세웠습니다.연구개발 특구 등에 대한 규제 완화로 스타트업 주변으로 VC와 연구, 회계, 법률 기관 등을 비롯해 MIT 등 세계 연구기관을 한 자리에 모으고,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네트워크, 플랫폼을 만들어 앵커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입니다.여기에는 내년까지 1조5천억원 목표로 조성될 성장지원펀드 등이 투입됩니다.민간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서 기술혁신 중소기업을 인수합병(M&A) 할 경우 해당 기업 기술가치금액의 10%를 세액 공제 하고, 자문사인 법무, 회계법인에 대한 스톡옵션 등 유인 체계를 만들기로 했습니다.이번 활성화 대상이 될 클러스터는 오송, 대구, 송도, 부산, 광주, 판교 등 다양합니다.특히 정부는 보스턴 연구기관과 바이오 분야에서 협업을 하는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를 주목하고 있습니다.오는 2025년까지 1조원 규모로 만들 펀드로 바이오 의약품의 연구개발(R&D), 임상, 수출 등 전 과정에 투자하는 등 바이오 분야에 중점을 두기로 했습니다.다만, 일각에서는 우려도 제기됩니다.이번 전략이 당장 수출 회복을 위한 물꼬가 되기는 어렵다는 측면 때문입니다.[ 김영한 /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 : (중국에 대한) 중간재 수출 시장 대부분이 빠른 속도로 중국 내 기업 공급으로 대체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구조적 원인이 더 심각한 원인인 것 같습니다. (클러스터 조성이) 과시 성 사업이 안 되도록 효과를 사후적으로도 검증할 수 있는 (메커니즘도 같이 해야 합니다.) ]반도체와 자동차 업종에서 온기가 돌고 있지만 높은 재고율과 국제 유가 변수를 고려할 때 하반기 반등을 점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의 수출 전략 효과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한국경제TV 이민재입니다.영상편집 김준호, CG 이혜정이민재기자 tobemj@wowtv.co.kr

      불안한 '수출' 한국 …'15개월째 내리막'에 정책 훈풍?
    오늘의 주요뉴스
    • 법인세 내리자 근로자 소득이 늘었다…캐나다 퀘벡의 증거

      법인세 내리자 근로자 소득이 늘었다…캐나다 퀘벡의 증거
    • 레지던스 이행강제금 부과, 내년말로 유예…업계 "미봉책"

      레지던스 이행강제금 부과, 내년말로 유예…업계 "미봉책"
    • '경쟁'으로 발전한 英 퇴직연금 "기금형 방식이 수익률 높였다"

      '경쟁'으로 발전한 英 퇴직연금 "기금형 방식이 수익률 높였다"
    • 전기차 보조금 연말까지 100만원 인상…"최대 780만원"

      전기차 보조금 연말까지 100만원 인상…"최대 780만원"
    • 한국인만 쓰는 야놀자·여기어때…年 2조 해외로 샌다

      한국인만 쓰는 야놀자·여기어때…年 2조 해외로 샌다
    이 시각 관심정보 AD
    분야별 주요뉴스
    "코로나 때 육박"…일 안 하고 '그냥 쉰' 3040 역대급 늘었다

    "코로나 때 육박"…일 안 하고 '그냥 쉰' 3040 역대급 늘었다

    외인·기관 팔자 속 무너진 코스피 2500선…이차전지 '주르륵'

    외인·기관 팔자 속 무너진 코스피 2500선…이차전지 '주르륵'

    "일본, 저렴할 때 사두자"…엔저에 외국인 부동산 투자 급증

    "일본, 저렴할 때 사두자"…엔저에 외국인 부동산 투자 급증

    인피니티풀·실내영화관 … 고품격 단지 다 모였다

    인피니티풀·실내영화관 … 고품격 단지 다 모였다

    9개월 만에 주담대 연 7% 뚫었는데…가계대출 1.6조 급증

    9개월 만에 주담대 연 7% 뚫었는데…가계대출 1.6조 급증

    롯데 "백화점 대대적 리뉴얼… 핵심상권 탈환"

    롯데 "백화점 대대적 리뉴얼… 핵심상권 탈환"

    2만명이 환호…팬덤 커지는 K버추얼 아이돌

    2만명이 환호…팬덤 커지는 K버추얼 아이돌

    비명계, 李체포안 가결표 색출에 "독재·전체주의" 반발

    비명계, 李체포안 가결표 색출에 "독재·전체주의" 반발

    [단독] '페트병 사건' 학부모, 직장서 대기 발령 조치됐다

    [단독] '페트병 사건' 학부모, 직장서 대기 발령 조치됐다

    "새벽 1시부터 기다렸어요"…中 '아이폰 금지령' 안 통했다

    "새벽 1시부터 기다렸어요"…中 '아이폰 금지령' 안 통했다

    GS25가 아침에 도시락 등 8종 500원 타임세일하는 이유

    GS25가 아침에 도시락 등 8종 500원 타임세일하는 이유

    첫선 보이는 DMZ 오픈음악제…"젊은 음악가들과 평화의 목소리"(종합)

    첫선 보이는 DMZ 오픈음악제…"젊은 음악가들과 평화의 목소리"(종합)

    환영합니다.

    해당 기사는 유료 서비스로 결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독신청 및 안내를 확인해주세요.

    홈 구독신청 및 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글자크기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글자행간
    • 1단계
    • 2단계
    • 3단계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아니오 예

    스크랩한 기사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삼성 우리은행 국민은행
    • 경제
    • 증권
    • 부동산
    • 금융
    • 산업
    • 정치
    • 사회
    • 국제
    • IT·과학
    • 라이프
    • 문화
    • 골프
    • 스포츠
    • 연예
    • 오피니언
    • 한경코리아마켓
    • 한경글로벌마켓
    • 집코노미
    • 회원전용
    • 한경 CHO Insight
    • 한경 Geeks
    • 한경 BIO Insight
    • 한경ESG
    • The Moneyist
    • The Lifeist
    • 데이터센터
    • 스페셜 리포트
    한국경제신문
    회사소개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구독신청 고충처리 광고안내 대표번호 : 02-3604-114
    한경닷컴
    회사소개 제휴 / 콘텐츠구입 광고안내 사이트맵 고객센터 1:1 문의 RSS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 이지연)
    서울시 중구 청파로 463 한국경제신문사
    대표번호 : 02-3277-9900
    사업자번호 : 104-81-47984 통신판매번호 : 중구00606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035 등록(발행)일자 : 2009.11.23 발행·편집인 : 정종태

    Copyright 1999-2023. 한경닷컴 All rights reserved.

    한국경제Family
    한국경제TV 한국경제매거진 Book 한경arteTV 텐아시아 KED Global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