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사 대비 3배 효능 확인...면역항암제, 올 하반기 美 1상 돌입”
티움바이오는 바이오 업계에서 종종 메드팩토와 비교 대상에 오른다. 두 회사 모두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방해하는 TGF-베타 저해제를 개발하는 데다 상장 시기(2019년 말)가 비슷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 탄탄한 연구 실력을 갖춰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도 받는다.

하지만 주가는 정반대로 움직였다. 공모 당시 4038억원이었던 메드팩토 시가총액은 1조8000억원 수준까지 올랐지만 티움바이오의 시가총액은 2783억원에서 3800억원 안팎으로 소폭 오르는데 그쳤다.

이에 대해 티움바이오는 올해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 중 두 개가 글로벌 임상 1상에 들어가는 등 본격적인 주가 재평가가 이뤄질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이 회사의 김훈택 대표는 1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TGF-베타 저해제 ‘TU-2218’의 임상 1상 신청을 위한 사전미팅 결과, 신청서(IND)를 내는데 큰 문제가 없다고 회신을 받았다”며 “늦어도 오는 7월엔 임상 1상을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TU-2218은 ‘암세포 수비수’라 불리는 TGF-베타의 활동을 막는 치료제다. TGF-베타는 암세포 주변에서 우리 몸의 면역팀인 NK세포와 T세포를 막는다. 또 혈관을 타고 다른 장기로 퍼지거나 폐를 딱딱하게 한다. 김 대표는 “TGF-베타의 활동을 막을뿐 아니라 기존 치료제가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까지 억제해 효과가 더 좋다”고 말했다.

티움바이오는 TU-2218을 비소세포 폐암과 위암, 두경부암 등의 적응증으로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임상 결과도 잘 나왔다. 김 대표는 “회사명은 밝힐 수 없지만 경쟁사 치료제와 직접 비교한 시험관 실험(인비트로)에서 면역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인터페론 감마 수치가 세 배 정도 높게 나왔다”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이전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경쟁사와 비교한 시험관 실험 역시 FDA에 제출됐다.

일부 회사의 연구 중단으로 신약 가치도 더 높아지고 있다. 지난 1월 독일 머크는 TGF-베타와 면역관문 PD-L1을 표적하는 항체 의약품 M7824의 임상을 중단했다. TGF-베타 저해 치료 시장에서 경쟁자가 줄은 것이다. 김 대표는 “세포 밖에서 활동하는 항체 치료제인 M7824는 반감기가 길고 용량 조절이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티움바이오의 물질은 세포 안으로 들어가 TGF-베타의 신호 전달을 차단한다.

또다른 파이프라인인 자궁 내막증 치료제 TU-2670은 기술 이전 논의를 진행 중이다. 김 대표는 “경쟁사가 많지 않고, 우리 파이프라인의 장점이 명확해 글로벌 업체의 투자 제안이 많이 들어온다”며 “유럽에서 임상 2상이 잘 진행되고 있고, 한국에서도 다음달 투약을 시작하는 등 당초 계획에 따라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혈우병 치료제의 글로벌 임상 1상도 하반기 시작한다. 혈우병은 혈액응고인자가 부족해 지혈이 안 되거나 오래 걸리는 출혈성 질환이다.

이와 함께 후속 파이프라인을 위한 후보물질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김 대표는 “작년에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등의 파이프라인이 세 개 늘었다”며 “이제까지 충분히 내실을 다졌고 올해부터 이에 대한 결과물들이 속속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