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의 한 식당에서 요리사가 고래고기를 들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도쿄의 한 식당에서 요리사가 고래고기를 들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일본에서 시판 중인 돌고래 고기에서 정부가 허용하는 기준치의 100배에 육박하는 수은이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호주 비영리 해양 보전 운동 단체 '액션 포 돌핀스(ADF)'가 야후 재팬에서 판매하는 '큰코돌고래' 잡육 두 팩을 구입해 분석한 결과, 각각 허용 기준치의 97.5배와 80배에 이르는 수은이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ADF는 지난해 10월13일 야후 재팬을 통해 해당 돌고래 고기를 주문했고, 이틀 뒤 고기를 배송 받아 일본 내 연구시설에 분석을 맡겼다.

연구 결과를 확인한 단체는 "높은 수은 함량은 소비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일본 경찰 당국에 고발장을 접수했고, 정부 차원에서 돌고래 고기 시판을 금지할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또 한나 테이트 ADF 사무국장은 "지난 10년간 야후 재팬에서 팔리는 고래와 돌고래 고기에서 잠재적으로 독성이 있는 수준의 수은이 검출됐다는 여러 건의 분석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런데도 이와 관련한 정보나 표시 없이 임신부를 포함한 누구나 이 고기를 살 수 있는 것은 매우 걱정되는 일"이라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일본 슈퍼마켓이나 식당,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더 이상 고래고기를 취급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돌고래 고기를 판매하는 행위는 일본 식품위생법을 위반하는 것인데도 일본 정부가 이러한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일본의 고래고기 섭취와 포경 규탄하는 환경단체 회원들. /사진=연합뉴스
일본의 고래고기 섭취와 포경 규탄하는 환경단체 회원들. /사진=연합뉴스
야후 재팬 측은 가디언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돌고래 고기나 관련 상품을 취급하지 않는다"면서 "ADF가 분석한 육류는 고래고기"라고 주장했다.

큰코돌고래는 '돌고래(dolphine)'로 불리기도, '거두고래(pilot whale)'로 불리기도 하는데, 제품명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전자의 표현을 쓴 탓에 ADF가 돌고래 고기로 오인하게 됐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하지만, 테이트 국장은 생물학적으로 큰코돌고래는 돌고랫과에 속한다면서 이 같은 해명을 반박했다.

한편, 일본 서부 연안 도시 '다이지(太地)'에서는 매년 9월부터 3월까지 돌고래를 좁은 만으로 몰아넣어 전시용 목적의 돌고래를 포획한 뒤 나머지를 작살로 찔러 죽이는 잔혹한 방식의 '돌고래 사냥'이 진행된다.

다이지 지역은 2009년 야생 돌고래 포획을 비판한 다큐멘터리 '더 코브: 슬픈 돌고래의 진실(The Cove)'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