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등 영향으로 주류 판매 감소…일본 국세청, 소비 촉진 방안 공모전
주류세 수입 급감에 젊은층에 술 권하는 일본
일본 정부가 주류 소비 감소로 조세 수입이 줄어들자 젊은층을 상대로 음주를 독려하고 나섰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17일(현지시간) 전했다.

일본 국세청은 최근 '사케 비바!' 캠페인을 통해 20∼39세를 상대로 주류의 인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제안을 접수하는 공모전을 벌이고 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젊은층의 생활 방식이 바뀌어 주류가 인기를 잃은 데 따른 것이다.

내달 9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공모전에서는 새로운 주류 제품과 디자인은 물론, 집에서의 음주를 촉진할 방안과 메타버스를 이용한 주류 판매 방식에 대한 아이디어도 모집한다.

일본 국세청에 따르면 자국 내 주류 소비는 1995년 연간 1인당 평균 100ℓ에서 2020년 75ℓ로 줄었다.

특히 맥주 소비가 급격히 감소했다.

맥주 회사 기린은 이 나라에서 2020년 1인당 맥주 소비량은 55병가량으로, 전년 대비 20% 줄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주류 판매 감소는 이미 48조엔(약 467조7천억원) 이상의 재정 적자를 보고 있는 일본 정부의 살림에도 타격을 미치고 있다.

2020년 주류에 대한 세수는 전년보다 1천100억엔(약 1조713억원) 줄어든 1조1천억엔(약 10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일본 영자지 재팬타임스에 따르면 이는 3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주류세 수입 감소다.

그해 주류를 통해 걷은 세금은 일본 조세 수입의 1.7%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1980년만 해도 5%에 달했으나 2011년 3%로 떨어지는 등 지속적으로 줄었다.

일본 국세청 관계자는 재팬타임스에 "코로나19 위기 동안 재택근무가 지속되면서 많은 사람이 동료와의 깊은 소통을 위해 술을 마시는 습관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됐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뉴노멀'이 뿌리를 내리면 세금 수입에 추가적인 억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